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지경부, 신성장동력 육성방안: -신성장동력 비전과 발전전략-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02-26 00:00:00.000
내용 목 차 Ⅰ. 추진 배경 및 경위 1 Ⅱ. 신성장동력 발굴 기본방향 3 Ⅲ. 신성장동력 발굴 결과 5 IV. 추진전략 7 Ⅴ. 향후 추진계획 13 Ⅵ. 기대효과 16 =================================================================================== 1. 추진 배경 □ 녹색성장과 미래준비에 박차를 가할 시점 ㅇ 21세기 지구환경 시대 및 초고령 사회에 대비한 미래준비와 녹색성장비전의 본격적 추진 □ 경제발전 패러다임이 근본적인 변화에 직면 ㅇ 수익창출 모델도 그간의 '쫓아가기型(Catch-up model)'에서 '선도型(Trend-setter model)'으로 바뀌지 않으면 현 경쟁력 유지도 어려운 상황 * 우리나라 세계1위 품목 : ('02) 65개 → ('03) 61개 → ('04) 58개 → (05) (59개) → ('06) 58개 - 특히, 미개척 분야인 녹색성장분야는 선도型 수익모델에 의한 시장선점으로 후발주자의 수익창출은 상대적으로 제한적 ㅇ 한편, 제조업, 서비스업 등 전통적 산업구분이 불분명해짐에 따라 제조업간, 제조업과 서비스업간 또는 서비스업종간 융합(Convergence)*에 의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급부상 * IT BT NT+기존 제조업 → 융합신산업, 신약개발+의료서비스 → 임상업, 전시 컨벤션+관광업 → 고부가 관광, 환경서비스+금융 → 녹색금융 등 □ 세계적인 경제침체에 따른 일자리 창출 등 단기 위기대책과 동시에 포스트 금융위기에 대비한 새로운 경제성장 비전 제시 필요 ㅇ 단기적 위기대처를 뛰어넘어, 각 경제 주체간 보다 명확한 목표에 대한 공감대 조성 필요 * 마이클포터 : 위기상황에서 과감한 구조조정을 통해 신성장산업으로 전환한 기업은 생존하였으나, 현 상황유지에 급급한 경우 결국 사양화(「사양산업에서의 경쟁전략」) ㅇ 다만, 성장 비전 제시과정에서 단기 일자리 창출효과도 충분히 반영 필요 2. 추진 경위 □ 당초 민간중심 신성장동력 기획단에서 제조업 중심의 신성장동력을 발굴('08. 3~9월)하여 정부에 건의('08. 9.22) ㅇ 민간 기획단 자체조사, 민간수요 조사 등을 통해 6대분야 21개 신성장동력 발굴 제시 * 에너지 환경(태양전지 등 6개), 수송시스템(그린카 등 2개), New IT(반도체 등 5개), 융합신산업(로봇 등 4개), 바이오(바이오신약 의료기기 1개), 지식서비스(소프트웨어 등 4개) ㅇ 문화부 소관 「콘텐츠산업 비전과 육성전략」(콘텐츠코리아 추진위원회)을 정부에 건의(9.22) □ 민간기획단 등과 각 부처에서 발굴한「신성장동력」을 적절히 반영하고, 교육 금융 등의 서비스업을 종합하여 범정부차원의 신성장동력 발굴 추진(9월~12월) ㅇ 국무총리실 주관으로 관계부처 고위공무원을 팀원으로 하는 범정부 신성장동력 TF 구성 운영(5차례 회의) - 각 부처에서 제안한 신성장동력(109개)에 대해 검토 ㅇ 신성장동력 후보안에 대해「미래기획위원회 민간자문회의」를 개최하여 심의 선별(3회) - 신성장동력 선정기준, 신성장동력별 선정 타당성, 추진전략의 적정성 등을 검토하여 적극 반영 ㅇ 중요 핵심 원천기술 및 녹색기술 R D의 반영을 위해「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위원회」심의(1회) □ 3대 분야 17개 신성장동력 선정 및 추진전략 마련(12월)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DT20090012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