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1. 민주화 이후의 과학기술 정책의 전개 가. '과학기술백서'와 '국가 연구개발 전략' ○ 1996년의 '과학기술백서'에서 경제성장 및 생활의 질적 개선이라고 하는 국민적 과제에 과학기술을 활용, 또 이를 위해 '내셔널 이노베이션 시스템'의 확립을 목표로 하는 것을 제시 ○ 2002년의 '국가 연구개발 전략(NRDS,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Strategy)'에서 보다 구체화 - ①이노베이션의 추진, ②과학 공학 기술 분야에서의 인적자원의 향상, ③효과적인 과학기술 행정의 구축 - 특히 연구개발비 증액과 천문학 등의 지리적 특징을 살린 연구 분야로의 전략적 투자 등을 강조 나. 이노베이션 10년 계획(TYIP, Ten Years Innovation Plan) ○ 2008년, 과학기술부(DST)가 '이노베이션 10년 계획'을 발표 - 남아공 고유의 지식과 생물다양성을 활용해, 바이오 테크놀러지와 제약 분야에서 세계의 선도적 위치를 목표로 한다. - 우주국을 설치해 지구관측·통신 측위·위성 산업의 발전을 목표로 우주 과학기술을 추진한다. - 청정 에너지 개발과 에너지 안전 보장을 확립한다. - 남아공의 입지를 살려, 기후변화 과학을 추진해 세계의 선도적 위치를 목표로 한다. - 인간·사회공학을 촉진해 과학기술로 사회 변혁에 공헌한다. 다. 남아공의 연구개발 투자의 특징 ○ 민간 비즈니스 부문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연구개발비의 부문별 부담 내역을 보면 민간 비즈니스 부문이 57.7%를 차지해 2위인 고등교육 부문의 19.4%를 크게 앞서고 있다(2007년). ○ 연구 분야별로는 기초공학 관련이 22.5%로 최대이며, 그 다음으로 의학·정보통신(14%), 인문·사회과학(12.4%)의 순이다. 2. 향후의 중점 분야 가. 생물다양성을 활용한 바이오 테크놀로지 ○ 남아공은 세계 제3위의 생물다양성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남아공에만 존재하는 고유의 식물 자원이 2만종 이상이다. - 이를 이용해 신약을 연구개발. 이미 3,000종 이상의 고유 식물이 감기부터 HIV/AIDS까지 다양한 병의 치료에 이용 ○ BRICs(Biotechnology Regional Innovation Centres) - 4개의 바이오 테크놀러지 학술 시설로 구성되어 있는 이노베이션 센터 - 각 연구 시설은 특화한 연구 분야에서 바이오 테크놀러지 연구 플랫폼의 구축과 바이오 테크놀러지 분야에서 새로운 기업의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나. 우주 신흥국을 목표 ○ 지구관측위성의 운용과 개발에 중점 ○ 1999년에 남아공의 최초 인공위성 발사. 2009년 소형 지구 관측위성이 소유즈에 의해 발사. 자력 발사 실적은 없음. ○ 지구 관측에 관한 정부간 회합이나 지구관측위성위원회에서 의장을 맡는 등 지구관측 분야의 국제 활동에 적극적 ○ 광물자원 탐사나 재해 예측, 작물의 수확 예측이나 환경 영향 조사, 항공·해상 업무 지원 등 다양한 영역에서 우주 관측 데이터가 유용 다. 지리적 조건을 살린 천문학 ○ 남아공은 고지이면서 광대하고 건조한 토지가 많아 천문학 관측에 유리 ○ 2005년에는 남아공 대천체 망원경(SALT, Southern African Large Telescope)을 건설 - 광학 적외선 망원경으로는 세계 10위 규모의 큰 망원경이며 남반구에서는 최대 ○ 국제 차세대 전파 망원경 프로젝트 'SKA(Square Kilometers Allay'에 참가하여 호주와 유치 경쟁중 3. 향후 과제 및 대응 가. 연구개발 인재의 부족 ○ 과학기술과 연구개발의 현장에서 활약해야 할 인재가 부족한 것이 남아공의 과학기술에 서 최대의 과제 ○ 특히 연구개발 현장에서 흑인 연구자수의 부족이 심각 ○ 남아공의 총 연구자수는 19,320명(2007년)으로, 연구자수 그 자체가 다른 국가와 비교해 현저하게 적다 나. 연구개발 인재육성에 대한 대응 ○ 인종간 격차를 시정하기 위해 BEE(Black Economic Empowerment) 정책을 전개 - 2003년에 무역산업부가 제정한 흑인 경제력 강화 정책으로, 지금까지 사회적으로 약자 입장에 있던 사람들을 우대해, 지위 향상과 사회 활동 참가를 촉진하고 있다. - BEE 정책과 경제 성장으로 '블랙 다이아몬드'로 불리는 다수의 흑인 중산층이 형성되고 정부 부문과 국영기업을 중심으로 흑인과 여성의 사회 진출이 진행중 ○ 과학기술부(DST)는 이과 교육개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이니셔티브를 실시 - 2002년부터 이과 교육의 모델교를 지정하고 강화하는 계획을 개시. 2008년에는 500개교로 증가 - Youth into Science Strategy : '국가 과학주간 이벤트'를 매년 개최하는 등 젊은층의 과학에 대한 흥미 환기와 능력 개발에 주력 - 국가연구재단(NRF)과 협력해 '남아공 PhD 프로젝트'를 시작. 1,200명(2005년)인 박사 학위 취득자를 2025년까지 10배 증가를 목표 - 목차 - 1. 남아공의 현황 2. 남아공의 과학기술 3. 민주화 이후의 과학기술 정책의 전개 4. 남아공의 주요 과학기술 관련 조직 5. 향후의 중점 분야 6. 향후 과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