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1. 보고서 개요 ○ 본보고서는 전자 정보 통신 분야의 각 국의 기술력의 국제 비교를 실시한 결과이며, 또 향후 한층 더 주목해야 할 맹아적인 기술 동향에 대해서도 기술하고 있다. 2. 국가별 기술력 비교 가. 일본 ○ 많은 분야에서 기초연구부터 산업기술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주요 국가들과 비교해 상대적인 저하 경향이 있다. 국제 시장 개척을 위한 전략적 대처가 필요하다. ○ 컴퓨터 하드웨어는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수준이며,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의 설계 기술은 높다. 슈퍼컴퓨터의 경우, 차세대 슈퍼컴퓨터 '경(京)' 프로젝트 등을 통해 기술력의 유지 향상을 도모되고 있다. ○ 통신 분야에서는 FTTH (Fiber To The Home)의 전개로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 하지만, 무선 LAN, 차세대 휴대전화 방식 등의 핵심 기술의 연구개발은 표준화로의 대응이 부족하다. ○ 디바이스 분야에서는 연구부터 산업기술까지 높은 기술 수준에 있지만, 이를 산업 경쟁력으로 연결하는 대응이 과제이다. 한편, 센서, 전력용 전자공학, 유기 일렉트로닉스 등은 소재 산업과의 제휴로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광학 재료·광컴퍼넌트, 실리콘 포토닉스 등에서도 우위성이 있다. ○ 로봇 분야에서는, 산업용 로봇으로 높은 세계 시장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연구 단계에서는 사이언스 지향 연구에 중점이 놓여지는 경향이 있어, 실용화를 위한 서비스 로봇의 연구개발은 부족하다. 나. 미국 ○ 독창적 아이디어의 창출력과 이를 산업으로 연결시키는 사회적 구조나 기업이 함께 강하고, 전자 정보 통신의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압도적인 우위성을 가지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비즈니스를 재빠르게 시작해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 넓은 분야에서 군용 연구가 기초 기술을 지탱하고 있는 측면이 크다 ○ 슈퍼컴퓨터 분야에서 2010년의 랭킹 톱을 중국에 빼앗겼지만, 기술력은 여전히 최고 수준이다. 클라우드 서비스에 수반하는 데이터 센터의 전력 절약화에 대해서도 높은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 대용량·장거리 광통신 등 네트워크 인프라에 대해도 연구부터 산업 단계까지 높은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 ○ 로봇 분야에서는 NRI (National Robotics Initiative)를 개시하는 등 주력하고 있으며 서비스 로봇의 상용화도 진행되고 있다. ○ 시스템을 지탱하는 디바이스 분야에서는, 독창적인 연구가 대학 및 기업에서 진전하고 있다. 또 환경 문제에 대응하는 움직임으로서 고체 조명의 표준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다. 유럽 ○ 전통적으로 기초 영역이 강하고, FP7(Framework Programme 7) 등을 통해 고액의 투자를 하고 있으며 각 국가 간에서 제휴한 연구개발력이 강화되고 있다. ○ 하드웨어의 산업 경쟁력은 대체로 강하지 않지만, 소프트웨어에서는 형식 수법,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등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 대기업 전용의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에서는 SAP사(독일)가 강해 매출액 기준으로 세계 제 3위의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 로봇 분야의 경우, FP7 중에서 Cognitive Systems and Robotics를 ICT 분야의 챌린지 영역의 하나로 선정해, 기업으로의 기술 이전 등에 예산을 중점 배분하고 있다. ○ 전자 디바이스 분야에서는, IMEC (벨기에)의 존재가 크고, 세계의 연구개발 거점의 하나가 되고 있다. 또 마이크로·나노테크놀로지 분야에서의 MINATEC(프랑스)도 주목해야 할 거점이다. 이러한 거점이나 대학간의 제휴 등을 통해, 유기 박막 태양전지, 전력용 전자공학, 고주파·아날로그 디바이스, 고체 조명 등의 연구가 진전하고 있다. 라. 한국 ○ 민관 일체가 되어 정보 통신 분야의 기술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 메모리, 디스플레이, 휴대 전화를 중심으로 많은 분야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을 늘려, 산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고 있다. ○ 광메모리 등에서는 대학의 연구개발 수준이 일본보다 높다고 할 수 있다. ○ 컴퓨터 하드웨어로의 연구개발에는 주력하지 않지만, 소프트웨어 분야에서의 연구 수준이 상승하고 있다. 마. 중국 ○ 전체적으로는 기술 수준이 아직 높다고는 할 수 없지만, 해외 유학생의 귀국으로 수준을 향상시키는 등 착실하게 성장하고 있다. 국제 회의로의 논문 발표, 또는 중국에서의 국제 회의의 주최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 목차 - 1. 목적·조사 방법·본 보고서의 구성 2. 국제 기술력 비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