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과학기술관련 의식조사 보고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0-03-18 00:00:00.000
내용 1. 조사 목적 ○ 과학기술과 사회에 관한 국민 의식을 파악해, 향후 시책에 반영하기 위해, 성인 1,916명(남성: 886명 여성: 1,030명)을 대상으로 내각부(과학기술정책·이노베이션 담당)에서 조사 2. 조사 결과 가.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 (1) 과학기술 관련 뉴스나 화제에 대한 관심 ○ 과학기술 관련 뉴스나 화제에 관심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관심이 있다'라는 비율이 63.0%('관심이 있다' : 24.7%, '어느 정도 관심이 있다' : 38.3%), '관심이 없다'라는 비율이 35.6%('별로 관심이 없다' : 23.9%, '관심이 없다' : 11.8%)이다. ○ 성별로는 남성은 '관심이 있다'라는 비율이, 여성은 '관심이 없다'라는 비율이 각각 높다. (2) 과학기술 관련 정보의 인지 경로 (복수회답, 상위 6항목) ○ 일반적으로 과학기술 관련 정보를 어디에서 얻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텔레비전'이라는 비율이 87.1%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신문, 잡지'(58.8%), '인터넷'(21.8%), '라디오'(12.2%), '가족이나 친구와의 대화 등'(10.1%), '서적'(9.2%) 등의 순이다. ○ 도시 규모별로 보면, '신문, 잡지' 비율은 中도시에서, '인터넷' 비율은 大도시에서 각각 높다. ○ 성별로는 남성은 '신문, 잡지', '인터넷', '라디오'에서, 여성은 '가족이나 친구와의 대화 등'에서 비율이 각각 높다. 나. 과학기술이 사회에 주는 영향 (1) 과학기술 발전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긍정적인 면이 많다'라는 비율이 53.5%, '반반이다'라는 비율이 35.2%, '부정적인 면이 많다'라는 비율이 6.5%이다. (2) 다른 나라와 비교한 일본의 과학기술 수준 ○ '일본의 과학기술은 다른 나라보다 앞서있다'라는 비율이 79.5%, '그렇지 않다'라는 비율이 16.6%이었다. ○ 성별로는 남성에서 '그렇다'는 비율은 높다. ○ 연령별로는 20대에서 '그렇다', 60대에서 '그렇지 않다'라는 비율이 각각 높다. (3) 학교에서의 이과·수학의 수업 ○ 학교에서의 이과·수학의 수업이 학생의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데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질문에 '그렇다'라는 비율이 48.2%('그렇다' : 21.2%, '비교적 그렇다' : 27.0%), '그렇지 않다'라는 비율이 42.1%('별로 그렇지 않다' : 33.6%, '그렇지 않다' : 8.5%)이다. (4) 새로운 과학기술의 발전에 의한 사회의 새로운 문제 해결 ○ 자원·에너지, 환경, 물, 식량 등 사회의 새로운 문제가 새로운 과학기술의 발전에 의해서 해결될 수 있는지에 질문에 '그렇다'라는 비율이 75.1%('그렇다' : 36.5%, '비교적 그렇다' : 38.6%), '그렇지 않다'라는 비율이 18.9%('별로 그렇지 않다' : 14.1%, '그렇지 않다' : 4.7%)이다. 다. 과학자나 기술자에 대한 이미지 (1) 과학자나 기술자에 대한 친밀감 ○ 과학자나 기술자가 친밀한 존재이며, 친밀감을 느끼는지에 대한 질문에 '그렇다'라는 비율이 23.1%('그렇다' : 7.5%, '비교적 그렇다' : 15.6%), '그렇지 않다'라는 비율이 73.9%('별로 그렇지 않다' : 46.2%, '그렇지 않다' : 27.7%)이다. ○ 성별로는 남성은 '그렇다'에서, 여성은 '그렇지 않다'라는 비율이 각각 높았다. ○ 연령별로는 60대, 70세 이상에서 '그렇다'라는 비율이, 20대에서 40대는 '그렇지 않다'라는 비율이 각각 높다. (2) 과학자나 기술자의 사회적 지위 ○ 과학자나 기술자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질문에 '높다'라는 비율이 71.0%('높다' : 32.9%, '비교적 높다' : 38.2%), '높지 않다'라는 비율이 24.9%('별로 높지 않다' : 18.2%, '높지 않다' : 6.7%)이다. ○ 성별로는 남성은 '높지 않다'에서, 여성은 '높다'라는 비율이 각각 높았다. 다. 과학기술이 공헌해야 할 분야 및 발전에 필요한 정책 (1) 과학기술이 공헌해야 할 분야 (복수회답, 상위 4항목) ○ 과학기술이 향후 공헌해야 하는 분야에 대한 질문에 '의료 분야'라는 비율이 75.7%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지구환경 보전에 관한 분야'(65.2%), '자원·에너지 개발이나 저장에 관한 분야'(56.7%), '식료(농림수산물) 분야'(47.7%) 등의 순이다. (2) 과학기술 발전에 필요한 정책 (복수회답, 상위 4항목) ○ 과학기술의 발전을 위해 정부 정책으로서 필요한 것을 묻는 질문에는 '차세대를 담당하는 신진 과학자, 기술자의 육성'이라는 비율이 76.6%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연구나 개발에 관한 자금 지원'(58.7%), '과학자, 기술자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연구설비의 설치'(45.1%),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기 위한 홍보 활동의 추진'(30.0%) 등의 순이다. ○ 도시 규모별로 보면 '연구나 개발에 관한 자금 지원'의 비율은 中도시에서, '과학자, 기술자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연구 설비의 설치'의 비율은 大도시에서 각각 높다. ○ 연령별로는 '차세대를 담당하는 신진 과학자, 기술자의 육성', '과학자, 기술자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연구 설비의 설치'는 40대에서, '연구나 개발에 관한 자금 지원'은 40, 50대에서,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기 위한 홍보 활동의 추진'은 30대에서 각각 높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00075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