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미국 농업부와 에너지부, 중국 간에 체결된 양해각서(MOU)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7-12-13 00:00:00.000
내용 미국 에너지부(DOE)와 농업부(USDA), 그리고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바이오 연료의 생산과 이용에 관하여 협력과 공조를 강화 확대키로 합의했다. 그랜드 에포크(Grand Epoch)시에서 제 3 차 미중 전략적 경제 대화가 개최되기에 앞서 이뤄진 성과다. 이번 양해각서(MOU)는 양국이 화석 연료의 사용을 줄이는 대신 바이오매스 등 재생 연료의 생산과 사용을 늘리는 것이 국익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 하에 이루어졌다. Energy Clay Sell 차관은 양국이 세계 최대의 에너지 소비국이자 최대의 자동차 시장인 관계로 미국은 중국과 보다 강화된 협력 체제를 구축하여 미국의 차량에 재생 및 대체 연료의 사용을 증대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또 미국과 중국은 에너지 수요의 급격한 증가 대처라는 유사한 난제에 봉착해 있는데, 이번 양해각서를 통해 양국의 자원과 전문성을 최대한 활용하고 뿐만 아니라 에너지 안보에 기여하며 기후 변화에 대처하고 경제 성장을 도모하는 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고도 밝혔다. 부시 대통령이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고 또 양국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본 양해각서는 특히 바이오매스와 공급원료의 생산과 지속가능, 변환 기술과 공학, 바이오 기반의 제품 개발과 활용 기준, 지방과 농업 분야의 발전 전략 등에 협력의 중점을 두었다. 중국은 세계 3위의 에탄올 생산국으로, 미국과 브라질의 뒤를 추격하고 있다. 또한 미국과 바이오연료 협정을 체결해 제 2 세대 바이오연료를 개발키로 한 아시아 최초의 국가이기도 하다. 미국은 바이오연료의 사용 증대, 특히 셀룰로오스의 에탄올 생산에 특히 관심을 갖고 있다. 올해 초 부시 대통령은 Twenty in Ten 계획을 발표하여, 재생 및 대체 연료의 이용을 증대하고 수송 부문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켜 십년 이내에 미국의 가솔린 소비를 20 퍼센트 줄이겠다고 하였다. 미국은 세계 최대의 차량 소비국이자 생산국이다. 2006년 중국은 미국의 뒤를 이어 세계 2위의 차량 소비국으로 등극했고, 세계 3위의 생산국이 되었다. 현재 중국에는 3천1백만 대의 승합차가 도로 위를 주행하고 있고 20년 후에는 그 수가 2억 대로 늘어날 전망이다 금번 중국과의 양해각서 체결은 과거 브라질과, 국제바이오연료포럼(International Biofuels Forum), G8 글로벌 바이오연료 에너지 제휴(Global Biofuels Energy Partnership: GBEP) 등과 진행한 작업을 토대로 이루어졌으며, 보다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원을 바라는 요즘, 전 세계가 힘을 합쳐 바이오연료의 개발에 나서자는 취지에서 진행되었다고, 미국 국무부 관계자가 전언했다. 미국은 세계의 여러 나라와 더불어 깨끗하고 효율적이며 안전한 에너지 기술을 개발하고 이용하기 위하여 금번의 양해각서 외에도 지난 9월 미국 에너지성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간에 양자 협정을 체결한 바 있다. 양해각서는 미국 에너지성과 중국 과학기술부가 체결한 것이 최초로, 차세대 차량 효율 기술을 미국과 중국이 대대적으로 도입, 활용하는 것이 목표였다. 특히 전기와 하이브리드 전기, 연료 전지, 대체 연료 기술에 초점이 맞춰졌다. 지난 9월 미국 에너지성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체결한 양해각서는 두 번째에 해당하며 중국 산업 부문의 공조 활동과 에너지 효율 향상을 기하는 것이 목표였다. 중국 산업 부문은 중국 전체의 에너지 수요의 70 퍼센트 가량을 차지한다. 미국 에너지부는 Save Energy Now(당장의 에너지 절약) 평가 프로그램을 통해 지난 2006년 매년 5억8천5백만 달러와 60조 btu를 절약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낸 바 있다. 미국 에너지부는 이 사실을 바탕으로 중국의 “상위 1000개” 에너지 기업 가운데 열 두 곳의 생산 공정과 공장 에너지 체계 등을 현장에서 감사할 계획이다. 양해각서의 목차 1. 협력 범위 2. 협력 주제 3. 합동실무반 4. 참여 기관 5. 총론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70256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