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술에 대한 산업게 트렌드와 소비자 태도 변화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9-04-08 00:00:00.000
내용 최근 가상현실에 대한 의견들과 태도들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사람들이 가상현실 기술에 이미 너무나 익숙해져서인 것인지 혹은 다른 요인이 있는 것인지 산업계 트렌드를 살펴보기로 한다. 가상현실은 지난 1990년대 초 처음으로 소개된 이후 2017년 초 상업적으로 폭발적인 움직임을 보이려는 듯한 양상을 띄어왔다 볼 수 있겠다. 하지만 이러한 예상이 현실로 드러났는가에 대한 견해는 다소 분분하다 볼 수 있다. 프랑스계 산업동향 분석기업인 ReportLinker社에서는 가상현실에 대한 트렌드를 연구하여 이러한 산업계의 예상이 사실인지 아닌지를 규명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는데, 연구 결과 가상현실에 대한 인지도나 견해, 그리고 도입률 모두가 감소 추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즉 가까운 미래에는 가상현실에 대한 전망이 좋지 않다는 뜻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 2017년 말 기준으로 북미지역이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과 관련한 가장 큰 상업적 투자자라 볼 수 있겠으나, 사실 이들 기술들은 미국인의 주요 관심사에 속해있지도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일례로 미국인의 절반 이상인 약 56퍼센트의 응답자들이 해당 기술들에 대해 인지는 하고 있으나 가까운 지인에게 설명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언급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특히 2017년 초에 진행된 조사에 의하면 전체의 약 14퍼센트 가량의 응답자들이 이미 가상현실을 경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약 23퍼센트에 달하는 응답자들만이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에 대해 익숙하다고 응답하였고 이를 잘 설명할 수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나 기술친밀도는 다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한다. 가상현실기술과 관련한 선두업체들에 대해 묻는 질문과 관련해서는 28퍼센트만이 어떠한 힌트도 없이 선두업체를 지칭할 수 있었으며, 37퍼센트 가량이 브랜드명을 제안받았을 때 친숙함을 표현하여 아직까지 기술이 반영된 선두업체나 브랜드파워가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물론 소비자들은 상기 기술들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응답자들의 약 2/3에 해당하는 62퍼센트 가량은 가상현실과 관련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장 최근에 이루어진 설문조사에서는 지난 2017년 조사 대비 열정적인 응답자들의 수가 14퍼센트 감소하는 수치로 기록된 것으로 나타나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과 관련한 기술수요와 트렌드가 아직 빛을 보고 있지는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볼 수 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900513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가상현실; 증강현실; 산업계 트렌드; 기술 친밀도 2.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industrial trend; technology familia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