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교과부,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운영 본격화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10-22 00:00:00.000
내용 - ldquo;연구시설ㆍ장비의 공동활용을 통한 R D 혁신모델, 추격형-선도형 국산장비 개발 rdquo; - □ 교육과학기술부(안병만 장관)는 「과학기술기본계획(577전략)」의 과학기술 하부구조 고도화를 위한 「국가연구시설ㆍ장비 확충 및 운영관리 선진화 방안*」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 제38회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위원회('09.3.17)에서 심의ㆍ확정 ○ 2009년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R D예산 12조 7천억 중 매년 10%(약 1조 2천억)이상의 예산이 신규 R D 시설ㆍ장비 구축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거대규모의 R D 시설ㆍ장비를 효과적으로 구축ㆍ활용하는 것은 곧 과학기술 하부구조를 튼튼히 하는 핵심과제라고 할 수 있다. ○ 이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 8월 1일 국가 연구시설ㆍ장비의 효율적 운영관리 및 체계적 지원을 위한 범 부처 연구시설ㆍ장비 총괄 전담기구로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National Research Facilities Equipment Center, NFEC)를 공식 출범시킨 바 있다. □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는 국가연구시설ㆍ장비의 전략적 투자 및 공동활용 체제 구축을 위한 핵심과제를 국가과학기술위원회로부터 부여받아 세부적인 이행과제를 다음과 같이 추진하고 있다. □ 첫째, 2025년까지 구축ㆍ운영될 50억 원 이상 시설ㆍ장비를 대상으로 국가 대형연구시설ㆍ장비 로드맵을 수립 중이다. 이는 연구시설장비를 보다 전략적으로 확충하기 위함이며, 현재는 연구자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 예산투입을 보다 효율화하기 위해 50억 이상 고가 연구장비는 기획재정부가 예산 편성단계에서 중복투자 및 국산화 비율 등을 심의한다. ○ 한편, 3,000만원 이상인 장비에 대해서도 정부부처가 예산 집행단계에서 구입여부를 검토하여 중복구매를 방지하고 국산화 비율을 높여 국가경제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둘째, 장비 공동활용과 R D 예산지원을 연계하는 R D 모델을 구상 중에 있다. ○ 유경만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장은 이와 관련하여, ldquo;장비보유기관의 장비를 공동 활용하여 연구를 할 경우, 간접비, 인건비 등 부대경비가 들지 않도록 체재비 및 장비사용료 등을 지원하게 되면 소액의 연구비로 큰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dquo;고 말했다. □ 셋째, 연구장비 운영 인력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해 장비 전문인력 및 전담기관을 육성ㆍ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NTIS(국가과학기술지식 포털( www.ntis.go.kr ))를 활용하여 웹상에서 장비관련 멘토링 시스템 구축, 분석과학기술대학원(GRAST) 육성 등을 통해 연구장비 핵심인력을 확보해 나갈 방침이다. □ 넷째, 첨단 연구장비의 대외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시장성이 높은 25개의 첨단 분석장비를 2010년부터 추격형으로 국산화 할 예정이다. ○ 또한, 최첨단 학문분야 과제를 아우르는 50대 첨단요소기술 개발과제를 조사?선정하여 연구 장비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첨단 연구장비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 한편, 교육과학기술부는 총 70,000여종에 달하는 첨단 장비이력을 NTIS에 공개하여 첨단 고가장비의 부족으로 애로를 겪는 중소기업이 장비를 활용토록 지원하고 있다. ※ 사례 : 충북 오창의 GL광학(주)은 기초과학지원연구원의 첨단장비 공동활용을 통해 초기 개발단계에서 총 매출액의 10%, 완제품 개발 후 생산단계에서 총 매출액의 50%이상 증가에 기여하는 성과를 낼 것으로 예상 □ 교육과학기술부는 이와 같은 국가연구장비 국산화개발ㆍ공동활용 촉진, 이용자 저변확대 등의 정책이 연구경쟁력 제고 및 노벨상급 우수연구 성과를 내는 데에 큰 힘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2100-6640 과학기술기반과장 : 장보현, 사무관 : 이종규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DT20090048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