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급성 골수성 백혈병 : 항 MYC에 대한 내성 예측 및 대응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20-09-22 00:00:00.000
내용 파리 생루이스 연구팀은 최근, 혈액암 치료제인 MYC 저해제에 대한 환자반응을 예측하고, 동 저해제에 내성을 갖는 환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연구결과를 제시했다. 최근 암 치료 분야에서는 암 치료제의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파리 연구팀은 미국 듀크대학 연구팀과 협력하여 백혈병 치료에 적용 가능한 바이오마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연구팀은 현재까지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를 위해 개발중인 약물인 MYC 저해제에 대한 예상마커(특정 약물에 대한 반응군과 비반응군을 구별할 수 있는 표지자) 개발에 성공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생루이스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세포, 시험관 내에서 배양된 암 세포주, 급성 백혈병에 걸린 동물 모델 등 여러 모델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특히 연구팀은 엽산의 대사경로 활성이 MYC 저해제 사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집중적으로 테스트했다. 그 결과, 엽산의 대사경로가 정상적으로 활성화된 암세포에 비해, 엽산이 부족하거나 엽산의 대사경로 저해를 일으키는MTHFR유전자가 있는 경우 MYC저해제에 대한 세포 반응이 감소하는 것을 발견했다. 뒤이어 연구팀은 동일한 환경 하에서 엽산을 추가 공급하였더니, 치료제에 대한 세포 반응이 활성화 되는 것을 확인했다. 엽산과 MYC사이의 연관성을 규명한 이번 연구는 향후 혈액암을 포함한 여러 암 치료에 활용가능한 MYC 저해제 개발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주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2000570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혈액암,급성 골수성 백혈병,엽산,바이오마커,MYC 저해제 2. myeloid leukemia,hematologic malignancy,folic acid,biomarker,anti-MY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