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아프리카에 사는 작은 영장류 '갈라고' 연구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7-08-08 00:00:00.000
내용 볼더 콜로라도 대학(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의 Michelle Sauther 교수와 Frank Cuozzo 연구원은 세계에서 가장 연구가 덜 된 영장류, 갈라고(Galagos)를 연구 중이다. 아프리카 부시베이비(Bushbabies)로도 불리는 갈라고는 인간의 손안에 들어갈 정도로 작은 남부의 작은갈라고와 고양이만한 크기로 두꺼운 꼬리를 가진 큰갈라고가 있다. 거의 모든 영장류가 열대 지역에서 서식하지만, 이 두 갈라고 종은 온대 지역에서 서식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어떻게 이 작은 영장류가 온난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남아프리카공화국 Lajuma Research Centre에 있는 갈라고를 관찰했다. 실시간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여 최첨단 기술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Sauther 교수와 Cuozzo 연구원은 최근 National Science Foundation(NSF)로부터 $245,000을 지원받았다. Sauther 교수는 ldquo;야행성 영장류를 연구하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지만 영장류의 진화와 환경 변화에 대한 다양한 의문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rdquo;라고 말한다. 갈라고는 지금까지 가장 적게 연구된 영장류이며 보존 문제에 있어 문제가 없는 것으로 잘못 인식되는 경우가 많았다. 현재까지 현장에서 수집된 예비 자료는 특별히 두꺼운 꼬리가 있는 큰갈라고들이 인간에 의해서 위협을 받고 있음을 나타냈다. Sauther 교수는 이 프로젝트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있는 두 종의 갈라고의 개체 수, 건강 상태, 생활 기록 등에 관한 포괄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Sauther 교수는 ldquo;환경의 변화가 영장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는 그동안 많이 연구되지 않았지만, 온난한 환경에서 사는 이 두 영장류의 열(thermal), 영양(Dietary), 행동(Behavioral) 생태학을 이해함으로써 영장류가 변화하는 환경에 어떻게 적응할 수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rdquo;라고 말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700281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영장류, 갈라고 2. Primate, Galag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