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전자정보통신 분야를 6개 분야(일렉트로닉스, 포토닉스, 컴퓨팅, 정보보호, 네트워크, 로보틱스)로 분류하고, 각 분야 약 60명의 전문가에 의한 국제기술력을 비교하였다. 기술력을 3단계, 즉 연구수준, 기술개발수준, 산업기술력 등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각국, 지역의 특징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일본 많은 분야에서 미국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다음 분야에서는 부분적으로는 일본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거나 미국과 비슷하다. - 반도체 메모리, LSI 장착기술, 디스플레이, 유기재료 #8228;디바이스 - 광메모리, 고체조명 #8228;발광 디바이스, 광학재료 #8228;부품, 포토닉 결정 - 병렬 컴퓨팅, 클러스터 컴퓨팅, 스토리지 시스템 - 임베티드 소프트웨어, 임베티드 시스템용 정보보호 기술 - 초고속 광전송 기술 - 브로드밴드 환경, 모바일 인터넷 환경의 정비 - 실제 세계 로보틱스 다음 분야는 국제적으로 약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 VLSI 시스템 아키텍처, 고주파 #8228;아날로그 집적회로, 파워 디바이스, CAD - 기반 소프트웨어(기업의 기술수준) - 정보보호 소프트웨어(기업의 기술수준) 2. 미국 전자정보통신 분야 전반에 걸쳐 연구자 층의 질적 수준, 신기술 창조력, 산업기술력 등이 전통적으로 강하며, 대부분의 분야에서 압도적으로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다음 분야는 비교적 약하다. - 반도체 메모리, 광메모리, 디스플레이, 유기재료 #8228;광디바이스 - 일렉트로닉스 생산기술 - 브로드밴드 네트워크 환경, 모바일 인터넷 환경 3. 유럽 전통적으로 기초영역에서 강하며, EU통합에 의해 FP7 등을 통해 각국의 제휴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다음 분야는 강하다. - 파워 디바이스, CAD(연구수준) - 소프트웨어 기초이론, 휴먼 인터페이스, 정보보호 - 네트워크 기초이론 및 시스템 - 로보틱스(지능화, 의료, 복지응용) 등 또한 국제표준화 측면에서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다. 4. 중국 다방면에서 미국, 유럽, 일본을 추격하고 있으며, 연구자 수, 연구 논문수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수준이 향상된 분야는 다음과 같다. - LSI, 디스플레이, 데이터베이스, 병렬컴퓨팅, 광통신 등 그 배경에는 마이크로 소프트, IBM, CISCO 등이 중국에 설립한 연구소와 유학 후 귀국자 등을 통해 미국, 유럽의 연구자와 제휴를 추진하고 있는 것이 큰 원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5. 한국 국제분업의 관점에서 전략적 집중과 선택을 택하고, 반도체에 주력하고 있으며, 컴퓨터에는 투자하지 않고 있다. 다음 분야는 특히 발전이 뚜렷하다. - 메모리, 디스플레이, 유기 디바이스, 단말기의 산업기술력 - 무선 브로드밴드 환경 - 로보틱스 6. 기타 주목되는 국가, 지역 - 대만 : VLSI 시스템 아키텍처 분야 - 인도 : 소프트웨어, VLSI 분야 - 이스라엘 : 정보보호, VLSI 분야 - 싱가포르 : 광메모리, 로보틱스 분야 - 오스트레일리아 : 로보틱스, 양자정보 분야 1. 목적과 구성 2. 국제 기술력 비교 (1) 일렉트로닉스 분야 (2) 포토닉스 분야 (3) 컴퓨팅 분야 (4) 정보보호 분야 (5) 네트워크 분야 (6) 로보틱스 분야 3. 주목해야 할 연구개발 동향 (1) 일렉트로닉스 분야 (2) 포토닉스 분야 (3) 컴퓨팅 분야 (4) 정보보호 분야 (5) 네트워크 분야 (6) 로보틱스 분야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