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자동녹음전화의 증가추세와 더불어 고객항의도 점차 증가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8-01-02 00:00:00.000
내용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미리 저장된 전화번호 및 불특정 다수의 전화번호로 무작위 전화를 걸어 녹음된 메세지를 재생하는 일명 로보콜 (Robocall)은 공공메세지의 안내나 선거운동, 그리고 제품과 서비스의 마케팅 등에 활용되어왔다 할 수 있다. 지난 12월 말 미국의 연방거래위원회인 FTC에서 발표한 로보콜 관련 소비자 불만지수를 살펴보면, 2016년 약 3.4백만 건에 달하던 항의 수치가 2017년 약 4.5백만 건으로 30퍼센트 가량의 증가추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https://www.ftc.gov/system/files/documents/reports/biennial-report-congress-under-do-not-call-registry-fee-extension-act-2007-operation-national-do-not/biennial_do_not_call_report_fy_2016-2017_0.pdf ] 특히 미국의 경우에는 국가적으로 이러한 자동화된 음성전화를 수신거부하기 위한 Do Not Call 레지스트리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데, 대략 6가지의 일반적인 형태(부채 탕감, 통화 두절 혹은 메세지 없는 문자, 휴가 및 일정 관련, 보증 및 보호계획, 정부나 지인위장용 전화, 의료 처방전 관련 내용)가 위반 목록에 해당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언급된 유형 외에도 2003년 Do Not Call 시스템이 개시된 이래 수신거부 사용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출시 후 첫 4일 동안 약 1천만 개의 전화번호가 등록되었으며, 현재 시스템 내부에는 약 2.2억 건의 전화번호가 등록되어있다고 한다. 이처럼 무분별한 자동녹음전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비용대비 저렴한 인터넷 전화 (VoIP) 시스템이 손꼽히고 있으며, 인터넷 전화서비스와 더불어 디지털화되어가고 있는 전화시스템들과 맞물려 자신의 발신번호를 자동으로 속일 수 있는 보다 단순한 여건이 마련될 수 있었던 것이 화근이 되었다 볼 수 있다. 특히 특정 개인을 공격목표로 삼기 위한 사이버공격의 일환으로 로보콜을 활용한다면 당사자의 삶을 매우 피곤하게 만들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연방거래위원회는 로보콜을 식별할 수 있는 기술을 찾아내는데 혈안이 되어있을 뿐 아니라 해당 전화번호들을 공개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 편의증진을 위해 마련된 자동음성전화로 인한 그 피해가 점차 증가하고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800354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자동녹음전화; 연방거래위원회; 인터넷 전화; 2. Robocall; Federal Trade Commission; Vo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