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9월 밤하늘서 떨어진 화구는 충남 서천서 폭발…운석 발견 안 돼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20-12-16 00:00:00.000
내용 지난 9월 23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목격됐던 ‘화구'(fireball)가 충남 서천지역 상공에서 폭발한 것으로 확인됐다. 15일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이 화구는 대기권에 진입한 뒤 낙하하는 동안 서천 상공에서 두 차례 폭발했으며, 운석은 발견되지 않았다.화구는 평범한 유성보다 훨씬 밝은 유성으로, 금성의 겉보기 등급인 약 -4등급보다 밝게 빛난다. 유성은 흔히 말하는 별똥별이다. 혜성, 소행성에서 떨어져 나온 티끌, 또는 태양계를 떠돌던 먼지 등이 지구 중력에 이끌려 대기권 안으로 들어오면서 대기와의 마찰로 불타는 현상을 일컫는다. 유성 폭발은 자주 관측되는 현상이지만, 이번 화구처럼 보름달보다 밝게 빛난 사례는 드물게 일어난다고 천문연은 설명했다. 천문연 우주위험감시센터는 시험 가동 중인 유성체 감시 네트워크를 통해 서천 화구를 포착, 감시카메라 전천 영상을 통해 궤적을 분석했다. 대전·거창 관측소 전천 카메라 영상, 일반인 제보 영상 등을 함께 분석한 결과 서천 화구는 오전 1시 39분께 서쪽 하늘에서 날아와 서해 상공 고도 70㎞에서 빛나기 시작했고 대기 중에서 두 차례 폭발한 뒤 소멸했다. 화구의 대기권 진입 속도는 초당 13㎞, 입사각은 40도로 계산됐다. 현재까지 서천 화구로 추정되는 유성의 잔해물, 즉 운석은 발견되지 않았다. 한국지질연구원 음파관측소는 서천 화구로 추정되는 음파와 지진파 분석을 통해 서천 화구의 폭발 에너지와 유성체 크기를 추산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SCTM0021514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