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코로나 대유행으로 배우는 기후 안정화 방안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20-09-16 00:00:00.000
내용 독일 포츠담 기후 영향 연구소(Potsdam Institute for Climate Impact Research), 베를린 샤리테 의과대학(CharitE- UniversitAtsmedizin Berlin), 포츠담 대학(University of Potsdam)의 연구진은 코로나 대유행과 기후 변화 간의 유사점을 강조하면서 이런 문제들의 해결을 위한 글로벌 노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새로운 연구를 발표했다. 코로나 위기는 글로벌 비상 예방 및 관리를 위한 테스트 케이스이다. 코로나 대유행은 반응 시간을 최소화할 때 더 큰 공중 보건 위기를 피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런 교훈을 마음에 새기고 이것을 기후 비상 관리에 적용하면 현재의 기후 변화를 지연시키거나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연구진은 진단, 예후, 치료, 재활의 4 개의 차원으로 위험 관리를 분류했다. COVID-19 대유행은 지구 평균 기온을 안정시키는데 기여를 했을 것으로 이번 연구에서 추론했다. 코로나 바이러스와 기후 위기의 위험 및 원인을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정량화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진단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예후적인 접근 방식이다. 뉴질랜드와 독일 같은 국가는 발병 가능성을 예측해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었다. 같은 맥락으로 기후 위기의 위험 및 원인을 알 수 있다면 글로벌 커뮤니티들은 기후 위험 평가를 이용함으로써 즉각적인 조치(의사결정 및 법률)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전염병에 대한 통찰력이 기후 변화의 원인과 증상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와 기후 위기는 인간에 의해서 발생하고 있다. 좋은 점은 정부 조치와 개인의 생활 방식 변화가 결합될 때 전염병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는 것이다. 의지가 있다면 길은 분명하게 존재한다. 이번 연구진은 사회적 정의 원칙을 기반으로 국제적인 기후 코로나 협약을 제안했다. 젊은 세대는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를 취함으로써 COVID-19로부터 노인을 보호해야 하고, 노년층은 파리 협약에 따라 지구 온난화를 감소시키는 조치를 취함으로써 깨끗한 지구를 후세에게 물러줘야 할 것이다. 코로나 대유행 이후에 새로운 형태의 사회적 상호 작용이 쏟아져 나온다면 지구 기후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협력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즉, 현재의 COVID-19 대유행은 기후 변화를 완화하려는 노력에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2000570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코로나; 기후 2. corona; clim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