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밝혀지는 허위정보(disinformation)의 영향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20-09-01 00:00:00.000
내용 허위정보의 원인과 결과를 조사한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바이러스가 사람들의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또한 허위적인 콘텐츠를 퍼뜨리는 것에 대해 정치 행위자(political actors)들에 의한 기성 미디어의 잘못된 콘텐츠 확산을 무시하면서, 소셜 미디어를 비난하는 것에 너무 많은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주장하였다. 허위정보는 민주사회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 그 대표적인 사례는 트럼프 미 대통령의 선거, 브렉시트 투표, 지구 온난화 등 환경 이슈에 대한 반대, 그리고 백신접종 거부 운동 등이다. 영국 정부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토마스 콜리(Thomas Colley) 박사는 연구팀을 이끌고 영국에서 허위정보가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를 실기했다. 이 프로젝트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이용하여, 연구진은 2019년 총선과 코로나 바이러스의 위기 동안 허위정보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새로운 분석을 실시했다. 일반적으로 주어진 메시지가 개인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하기는 어렵지만, 연구 따르면 대유행병은 허위 또는 오해의 소지가 있는 정보가 고의적으로 확산되었을 때 더 명확한 척도를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메탄올이 바이러스를 치료할 수 있다는 잘못된 정보로 700명의 이란인이 사망하는 비극이 발생하자 일찌감치 '정보전염병(infodemic)'이 전염병과 함께 발생하고 있다고 선언했다. 영국에서는 5G 안테나 수십 개가 바이러스 확산과 관련이 있다는 소문으로 파손됐다. 전문가들이 공개적으로 이부프로펜이 증상을 치료하기에 안전한지 의문을 제기하자 이부프로펜 판매는 줄고 파라세타몰 판매는 증가했다. 이러한 예들을 연구하면서, 연구원들은 사회 전반에 걸쳐 허위정보가 확산되는 방법에 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그들은 정보가 사람들에게 인식되는 것조차 그것에 대한 관심과 근거에 대한 신뢰에 의해 매개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때문에 추가적인 언론 보도를 통해 그 범위를 확대하기보다는 일부 허위정보는 무시하는 것이 나을 수 있다. 소셜 미디어를 탓하는 것은 국내 정치 행위자와 전통 매체에 의해 퍼지는 허위정보의 중요성을 무시하는 것이다. 일부 국가의 정치 지도자들과 심지어 과학자들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치료법에 대해 잘못된 주장을 하고 있다. 경제적 예측이든 질병과 사망률이든 통계수치의 선별적인 사용은 시민들을 오도할 수 있다. 콜리 박사는 허위정보가 소셜 미디어뿐만 아니라 많은 다른 정보 출처의 상호작용을 통해 퍼진다고 말했다. 그는 영국 사람들에게 소셜 미디어 상의 허위정보는 심지어 가장 큰 문제가 아닐 수도 있다고 언급하고, 그 이유로 영국인들은 소셜미디어 뉴스를 매우 믿지 않고 거의 공유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연구 결과 정치인과 전통적 매체로부터 나오는 허위정보가 더 많고 우려스러운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프란체스카 그라넬리(Francesca Granelli) 박사는 사람들이 그들의 기존 신념을 강화하는 정보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소셜 미디어는 허위정보 반대 운동의 중심이 되어 왔지만, 소셜 미디어가 사람들이 뉴스를 접하는 유일한 영역은 아니며, 친구, 부모, 신문, 유명인사, 음악가 등에게서도 정보를 습득한다고 말했다. 이제 오래된 문지기들은 제거되었지만, 이를 대체할 올바른 방법을 우리는 아직 찾지 못했다고 그는 지적했다. 연구진은 국내 정치 행위자들이 기존 미디어에서 퍼뜨리는 허위정보의 큰 영향력을 고려할 때 소셜 미디어, 허위 콘텐츠, 외부 행위자에만 초점을 맞춘 허위정보 대응 정책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결론내렸다. 향후 연구진은 코로나 바이러스가 정치인들, 언론인들, 과학자,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 있는 인사(influencers), 일반 시민 등 광범위한 행위자을 포함하여, 허위정보에 대한 이해와 대응을 위한 보다 세밀하고 다차원척인 접근을 촉발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진은 사회적 통합을 포함하여 허위정보가 어떻게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2000568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허위정보; 코로나 바이러스; 정보전염병 2. Disinformation; Covid 19; Infodem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