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과학기술 미래 전략 보고서(전자정보통신)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0-04-28 00:00:00.000
내용 1. 개요 ○ 과학기술진흥기구 연구개발전략센터는 전자정보통신 분야의 연구개발 동향을 전망하고 향후 제안해야 할 중요 연구개발 과제를 도출하였다. - 6개의 기술 분야(일렉트로닉스, 포토닉스, 컴퓨팅, 정보보안, 네트워크, 로보틱스)로부터 총 76개 항목의 중요 연구개발 과제를 도출하였다. 2. 기술분야별 중요 연구개발 과제 가. 일렉트로닉스 ○ 향후 약 10년후에 실현되어야 할 5개 연구개발 과제를 도출해, 이를 구성하는 요소 기술을 실리콘계 재료/비실리콘계 재료, 재료/디바이스/프로세스/디바이스/회로/아키텍쳐라는 계층 구조가 되도록 표현한 전망도를 구성하였다. ○ 중요 연구개발 과제(5개 항목) - 다양성을 기르는 애자일(Agile) 집적, 차세대 실리콘 집적 기술, 유비쿼터스·에너지 넷, 물리 세계와의 IT인터페이스, 대면적(大面積) 일렉트로닉스 나. 포토닉스 ○ 연구개발전략센터가 작성한 '전자 정보 통신 분야 과학 기술·연구 개발의 국제 비교 (2009년)'에서 연구개발 과제를 검토해, 14개의 중요 연구개발 과제를 도출하였다. ○ 중요 연구개발 과제(14개 항목) - 차세대 디지털 coherent 광통신, 전광네트워크 구축, 멀티 코어 파이버 기술, 컴퓨터의 고속화를 위한 광(光)배선, 차세대 광(光)저장기술, 인쇄 방식에 의한 저환경 부하 LCD 패널 제조 기술, 고체 조명의 고효율화, Computational photography, 바이오 포토닉스, 양자(量子)정보 포토닉스, 선진 포토닉 재료, 포토닉스 통합 해석 소프트웨어, 환경·에너지 문제를 위한 포토닉스(태양전지), 광화학 반응을 이용한 물질의 생성 다. 컴퓨팅 ○ 일본의 강점을 살려 글로벌하게 통용되는 강한 정보기술 창출을 목표로, 5개의 중요 연구개발 과제를 도출하였다. ○ 중요 연구개발 과제(5개 항목) - 초분산·초집중 컴퓨팅, Context Intention 컴퓨팅, Semantic 컴퓨팅, Federation 컴퓨팅, 에코시스템 라. 정보보안 ○ 연구개발되는 기술방법의 출구·응용처를 의식하면서 중요 연구개발 과제를 목록화해, '사회', '기반기술', '소프트웨어·시스템', '네트워크', '디바이스·물리 특성'에 대응시켜 22개 항목의 중요 연구개발 과제를 도출하였다. ○ 중요 연구개발 과제(22개 항목) - 리스크의 인지·평가·관리, 정보윤리, 커뮤니케이션·홍보·교육, 제도 설계, 디지털 Forensics, 사양 정의·설계 기술, 암호 이론, 고성능 인증, 임베디드 시큐러티, 이론적인 소프트웨어 안전성 보증·검증 수법, 클라우드 컴퓨팅, Trusted 컴퓨팅, 가상화 기술, 네트워크 관측·분석, 멀웨어 대책, Web 시큐러티, 인프라 시큐러티, 이머징(Emerging) 네트워크 시큐리티, 동적 재구성 하드웨어, 비침습 공격, 침습 공격, 물리적 내(耐)클론 기능(PUF)/인공물 매트릭스 마. 네트워크 ○ '인터넷의 보급과 사회 인프라·인터넷의 새로운 전개', '사용자의 IT 스킬 향상', '아직도 계속되는 반도체 기술의 향상', 'IT와 타분야의 융합',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차세대 전력망 시스템)' 등, 네트워크 분야에 관련한 사회적 주제에 대해서, 지수함수적으로 성장하는 기술·요소 등의 관점에서 분석을 실시해, 10개 항목의 중요 연구개발 과제를 도출하였다. ○ 중요 연구개발 과제(10개 항목) - Rapid scale-out technologies, 최종 사용자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소프트웨어 공학, GreenX 기술, Cognitive 무선, 주파수 가상화 기술, 통신 플랫폼 기술, 유저 아이덴티티 활용 기술·시큐러티 기술, 휴대전화용 Augmented Reality 기술, Real World Computing Internet of things, 광역센서 네트워크 바. 로보틱스 ○ 로봇의 공헌이 기대되는 중요한 응용 분야(Application-oriented robotics)와 복수의 응용 분야에 적용 가능하고 로보틱스 기술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완수할 수 있는 기반기술 분야(Fundamental robotics)에 대해 각각 10개 항목, 총 20개 항목의 중요 연구개발 과제를 도출하였다. ○ 중요 연구개발 과제(20개 항목) - 응용분야(10) : 환경 모니터링, 정부 서비스, 농림수산업, 서비스업, 의료, 연구개발, 일상생활 지원·간병, 건강 장수, 감시, 커뮤니케이션 - 기반기술분야(10) : Cyborg (Cybernetic organisms), Stochasticity in Robotics, Ambient Intelligence, Robotics Systems Integration Science, Human Robot Interaction, Real-world Real-time Intelligence, Spatio-temporal System Design, Sensing and Machine Cognition, Manipulation Science, Mobility Science - 목차 - 1. 배경 1.1 중요 연구개발 과제 추출의 경위 1.2 전망 워크숍의 전체 설계 2. 기술별 전문분과의 검토 결과 2.1 일렉트로닉스 분과 2.2 포토닉스 분과 2.3 컴퓨팅 분과 2.4 정보보안 분과 2.5 네트워크 분과 2.6 로보틱스 분과 3. '체제 시나리오' 검토 결과 4. 정리와 향후의 검토 항목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00114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