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도쿄대, 연구활동 #12539;산학협력 #12539;인재육성 등에서의 '행동 시나리오' 공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0-04-29 00:00:00.000
내용 1. 개요 ○ 도쿄대학은 2004년의 법인화에 앞서 장기적 시점에 선 대학 운영의 기본 원칙인 '도쿄대학 헌장'을 제정하였으며, 그 후 제1기 중기 목표·계획 및 '액션 플랜 2005-2008'에 근거해 다방면에 걸쳐 주체적인 대응을 전개하였다. ○ 본 '행동 시나리오(FOREST 2015)'는 상기와 같은 성과를 근거로, 이를 한층 더 확고히 하기 위한 내용으로, 2010년에 시작하는 제2기 중기 목표·계획은 '행동 시나리오'를 전개하는 기반으로, 양자 모두 도쿄대학 운영의 기본 방향이다. * FOREST : Front, Openness, Responsibility, Excellence, Sustainability, Toughness ○ '행동 시나리오'는 '행동 비전', '중점 테마별 행동 시나리오', '조직별 행동 시나리오' 등 3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쿄대학 전체가 하나가 되어 목표로 해야 할 방침, 취해야 할 행동을 종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 '행동 비전'은 총론에 해당되며, 향후 도쿄대학이 목표로 하는 모습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과제를 기술하고 있다. - '중점 테마별 행동 시나리오'는 주요 9개 테마에 입각해 수치목표를 포함한 달성 목표, 주요 대응을 제시하고 있다. - '조직별 행동 시나리오'는 도쿄대학을 구성하는 다양한 조직 각각의 장래 구상의 개략을 제시하고 있다. ○ 본 내용은 '중점 테마별 행동 시나리오'에서 과학기술과 연관된 연구활동, 산학협력, 인재육성 등에 관한 사항을 추출해 정리하였다. 2. 주요 내용 가. 학술의 다양성 확보와 탁월성 추구 (1) 달성 목표 ○ 모든 연구자가 탁월한 학술을 추구해, 다양한 학술의 담당자로서 인류의 영지의 축적에 공헌한다. 특히, 연구지원 체제를 충실 강화해, 세계 최고 수준의 탁월한 연구를 수행한다. - 연구 시간의 확보, 연구 활성도의 유지·향상, 대학간 유동성 향상 등 ○ 학술 제분야의 융합을 추진해, 새로운 학술을 계속 창출하여, 인류 지(知)의 영역을 한층 확대해 간다. ○ 국제 발신력을 강화해, 종합연구대학으로서의 국제적 존재를 높여 대학간 제휴나 학술을 선도한다. - 세계 최고 수준의 허브 거점의 50개소 이상을 확보한다. ○ 연구 성과를 적극적으로 사회 환원하는 것으로써, 지속가능하고 공정·평화로운 국제사회·지역사회의 발전에 공헌하며, 널리 연구 활동에 대한 사회의 이해를 심화시킨다. (2) 주요 대응, 검토 사항 ○ 연구의 탁월성을 추구하기 위한 지원의 강화 - 탁월한 연구를 위한 인프라 정비 : 대학 전체 공동 이용 공간 확대, 대형 프로젝트의 지원 환경·추진 체제의 정비, 연구관리자 육성, 간접 경비를 활용한 연구 환경의 대학 전체적 정비 - 톱 레벨의 연구자 네트워크의 정비 - 연구 활동의 한층 더 투명화와 질 보증 ○ 탁월성의 기반이 되는 연구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원 강화 - 각 캠퍼스의 연구 활동의 개성화·특색화, 기능별 분화의 촉진 - 간접 경비, 도쿄대학 기금 등을 유효 활용한 맹아적 연구에 대한 지원 강화 - 새로운 학술 분야 창출을 위한 학내외에서의 타분야 교류·제휴 기능의 강화 - 신진 연구자·여성 연구자 육성과 지원의 강화 - 인사제도 개혁에 의한 신진 연구자의 등용 촉진 ○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를 지향한 국제화 대응의 강화 - 세계 톱 레벨의 외국인 연구자의 유입·활용의 촉진 - 국제고등연구소 구상의 구체화 나. 글로벌 캠퍼스의 형성 (1) 달성 목표 ○ 세계로부터 인재가 모이는 글로벌 캠퍼스를 형성해, 구성원의 다양화를 통해서 학생의 시야를 넓게 세계로 확대한다. - 2020년까지 유학생 비율을 12% 이상, 외국인 교원 비율을 10%이상, 영어에 의한 수업 과목을 3배 이상으로 증가시킨다. 2015년까지 모든 학생에게 해외 유학·파견을 포함한 국제적인 학습·연구 체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교육·연구에 있어서의 국제 제휴를 전략적으로 진행하며, 국제적 발신 인프라를 정비한다. ○ 글로벌 캠퍼스에 적합한 교육·연구·생활 환경을 구축한다. (2) 주요 대응, 검토 사항 ○ 유학생·외국인 연구자의 유입 증가 - 영어에 의한 수업 증가, 영어만으로 학위를 취할 수 있는 코스의 확충 - 외국인 교원 증가에 의한 교육의 다양화 - 커리큘럼 등 교육 시스템의 국제 통용성의 향상과 학점 상호 호환 등 교육면에서의 국제 제휴 ○ 국제 제휴 및 국제 발신의 강화 - 국제 제휴 활동의 전략적 실시, 학술 데이터베이스 정비 등에 의한 연구 성과의 보급과 연구자 교류의 확대 - 해외 거점을 활용한 우수 학생에 대한 홍보 활동의 추진 ○ 아시아와의 제휴 강화 - 중국, 한국을 포함한 다자간 제휴의 촉진 다. 산학협력의 전개와 도전 (1) 달성 목표 ○ 사회에 열린 '장'을 구축해, 대학과 사회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며, 다양한 사람들이 과제를 발견·공유해, 그 해결을 위한 창조적 활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지(知)'의 공동 창조). ○ 산학협력 활동을 통해서 연구 성과의 사회 환원을 가속화하며, 대학과 산업의 '지'가 연결하는 '지의 공동 창조'를 전개해, 한층 더 그 성과를 이노베이션으로 연결한다. (2) 주요 대응, 검토 사항 ○ '지의 공동창조'를 대학 전체적으로 전개하는 사회에 열린 '장'('지'의 공동 창조 플랫폼)의 설치 - 일반 사회와의 커뮤니케이션의 본연의 자세 탐구와 그 비전·방법론의 확립 - '지의 공동 창조'의 여러 활동을 종합적으로 추진하는 조직체제 및 핵심 기능의 정비의 검토 ○ 연구 성과의 사회 환원과 이를 이노베이션으로 연결하는 산학협력 활동의 추진 - 지적 창작물의 창출·보호·활용 등을 위한 기반 정비 - (주)도쿄대학TLO(기술이전기관)와 제휴한 지적재산의 전략적인 활용 - (주)도쿄대학 캐피탈과의 제휴, 도쿄대학 산학협력본부 등에 의한 인큐베이션 사업의 추진에 의한 대학발 벤처의 창업 지원 - 도쿄대학 산학협력협의회 등을 통한 정보 발신 - 국제적 산학협력 활동의 추진 및 산학관에서의 조직 제휴 강화 - 산학협력 및 신규 산업 창출을 담당하는 인재의 육성 ○ 산학협력에서의 '지의 공동 창조'를 추진하는 대처 - 가치 창조를 목표로 한 공동 연구를 입안·실시하는 체제의 확립 - 원활한 제휴를 지탱하는 연구지원 체제의 정비 - 첨단적·학술적인 공동 연구 추진을 위한 세계에 열린 '장'의 전개 ○ 사회와 대학이 연결하는 교육의 추진 - 사회와 공동 창조하는 교육·연구 프로그램의 추진, 이수 증명 프로그램의 보급책 검토 - 사회인 재교육 기능의 강화와 교육 연구에서의 사회 제휴의 확충 라. 교원의 교육력 향상, 활력의 유지 (1) 달성 목표 ○ 모든 교원이 국내외에서 평가되는 뛰어난 연구 실적을 올리며, 치밀한 지도 체제하에 인재 육성에 필요한 교육력을 발휘한다. ○ 톱 레벨의 교원이 해외 유력 대학에 손색없는 교육환경하에 탁월한 교육 성과를 올린다. ○ 다양한 교원 구성의 실현에 의해, 교육 연구 활동을 활성화한다. - 2020년까지 여성 비율 20%, 외국인 비율 10%의 달성을 목표로 한다. ○ 교원 조직의 활성화를 촉진해, 교육 연구 활동을 활성화한다. (2) 주요 대응, 검토 사항 ○ 교육력 향상을 위한 토탈 시스템의 구축 - 교육면의 대학 전체 관리 체제의 재검토 - 모든 강의(학부)에서의 학생의 수업 평가 실시와 조직적 활용 - 대학 전체적인 교수·학습 활동의 연구개발·지원 거점의 정비·강화 ○ 지원 인재의 질적·양적 충실 등 교육 체제의 강화 - 교육의 개선 충실을 지원하는 전문성 있는 직원의 확보 - 조교 제도 및 조교 육성 프로그램의 비약적 충실과 양적 확대 - 치밀한 지도를 실시하는 관점에 선 교원·학생의 적정한 양적 균형의 확보 ○ 신진 교원의 자리 확보 등 교원 조직의 활성화 - 테뉴어(Tenure) 제도의 도입 검토 - 도쿄대학 기금을 활용한 신진 교원의 지원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00115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