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1. 차세대 자동차 개발·보급의 현상 ○ 운수부문의 에너지 소비는 일본 에너지 전체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차세대 자동차의 기술개발, 도입 촉진을 위한 대처는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 하이브리드 자동차, CNG(Compressed Natural Gas) 자동차 외에, 2008년 9월의 클린 디젤 승용차의 발매를 시작으로 2009년 여름 이후에는 전기 자동차,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이 시장에 투입되었으며, 도입 지원의 충실 등에 의해 가속적인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리튬이온 배터리에서의 일본의 경쟁력을 살려, 각 배터리 메이커는 자동차 메이커와 공동으로 차세대 자동차용 축전지의 공급을 개시하고 있다. 2. 차세대 자동차 보급을 위한 기술과제 및 대응 가. 해결해야 할 과제 ○ 주행성·쾌적성 향상 - 리튬이온 배터리, 신세대 축전 시스템, 연료전지, 구동·제어계 ○ 에너지 부하 저감 - 신소재(경량화 등) - 고효율 공기조절 시스템, 에코 드라이브 어시스트 기능, 공력 개선(차량디자인), 솔러 전지 등 ○ 안전성 향상 - 차체 제어 시스템, 자동감속 시스템, 자동주행 시스템, 차량간 통신 시스템, 도난 방지 시스템 등 나. 주요 기술적 과제 ○ 리튬이온 배터리의 재료 - 현행 또는 향후 투입되는 EV(전기자동차), pHV(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에 탑재되는 축전지는 리튬이온 배터리이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주된 재료는 전기분해액, 양극 재료, 음극 재료, Separator이며 전지의 고성능화, 저비용화에는 이들 재료의 기술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 축전지(배터리)의 기술 과제와 대응책(차세대 고성능 축전 시스템 기술개발 등 ) - 차세대 자동차의 본격 보급을 위해서는, 배터리의 새로운 저비용화와 고성능화가 필요. 따라서 산학관 협력하에 다음의 기술개발을 실시한다. ·2015년을 목표로 리튬이온 배터리의 고도화를 목표로 하는 요소 기술개발 ·2030년을 목표로 리튬이온 배터리와는 개념이 다른 혁신형 축전지의 개발을 목표로 하는 차세대 기술개발 ·혁신형 축전지의 개발, 실용화를 위한 기초적 연구 ○ 연료전지차의 실용화를 위한 기술 과제와 대응책 - 배터리의 고성능화, 저비용화 ·리튬이온 배터리의 고도화, 혁신형 축전지의 개발 ·전지기술은 연료전지 자동차의 개발·보급에 불가결 - 연료전지의 고성능화·저비용화 ·연료전지 촉매의 내구성 향상을 목표로 하는 대체 재료 개발 ·백금을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촉매 개발 - 수소 저장의 효율화 ·컴팩트·고효율의 수소 저장 재료의 개발 - 연료전지차 관련 규격의 책정 ·연료전지차의 실주행 데이터의 취득 등을 통한 연료전지의 안전성·수명 평가 시험법의 확립, 수소 연료·연결기 규격의 책정 등 ○ 신형 모터의 기술 과제와 대응책 - Dy(디스프로슘, Dysprosium)의 자원 제약 ·고기능 모터에는 강력한 자석이 필요.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모터용 자석은 희소 금속이 이용되기 때문에 원료의 공급 리스크가 매우 크다 ·특히 고온 자성 보관 유지에 이바지하는 Dy는 거의 100%를 중국에 의존. 중국은 최근 수출규제를 강화. 따라서 중국과의 관계 강화가 필요. - 非Dy 고효율 모터 및 자석에 대해 연구개발 ·동등의 성능을 가지는 非Dy 자석의 개발 ·신형 모터의 개발(전자 유도 모터 등) - 리사이클 시스템의 정비 ·폐가전, 폐기계, 폐자동차 등으로부터 자석을 회수하기 위한 리사이클 시스템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