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OECE 산하 원자력 기구 (NEA: Nuclear Energy Agency) 는 2008 년 7 월 10 일 , '2008 년 원자력 에너지 데이터 (Nuclear Energy Data 2008 edition)' 을 발간했다 . OECD NEA 에 의해 매년 발간되고 있는 이 보고서는 'Brown Book' 이라고도 알려져 있는데 , OECD 회원국 정부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 원자력 에너지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핵심적 통계와 정보를 담고 있다 . 올해 보고서에 따르면 2007 년 OECD 국가의 전체 발전량 중 원자력 비중은 네덜란드가 3.9% 로 가장 낮고 프랑스가 76.8% 로 가장 높았으며 , OECD 국가 평균은 21.6%, OECD 아시아태평양 국가 평균은 23.3% 로 나타났다 . 한국은 35.2% 로 일본의 25.6% 를 상회했다 . 핀란드 , 헝가리 , 미국 등의 기록적인 원자력 발전소 설립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 독일 , 일본 등의 발전량 감소와 슬로바키아 및 영국의 발전소 폐쇄로 인한 하락세를 상쇄하지는 못해 2006 년의 OECD 국가 평균인 22.9% 보다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07 년의 총 원자력 발전량은 2,172TWh 로 전년 대비 3.6% 감소했다 . 2008 년 초 기준 , OECD 의 17 개국 내 에너지 망에 연결된 원자력 시설은 총 346 기이다 . 한국 , 일본 , 슬로바키아에서 각각 6 기 , 3 기 , 2 기씩 , 그리고 미국 , 프랑스 , 핀란드에서 각각 한 기씩 건설 중에 있어 총 6 개국 내 14 기의 원자력 시설 ( 총 발전량 14.2GWe) 이 건설 중이다 . 13 기의 원자로 건설이 확정되었는데 이는 모두 OECD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예정되어 있다 . 건설이 완료되면 기당 31.2GWe 가 OECD 에너지 망에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 2012 년까지 폐쇄가 예정되어 있는 시설은 총 12 곳이며 , 이는 독일에서 5 기 , 영국의 4 기 , 프랑스 , 일본 , 슬로바키아에서 각각 한 기이다 . 우라늄 가격의 상승으로 기존 자원에 대한 탐사와 재평가가 촉발되었으며 2005 년과 2007 년 사이 우라늄 주재료가 15% 증가하기도 했다 . OECD 국가에서의 천연 우라늄 생산은 요구량을 밑돌 뿐 아니라 과거에 비해서도 줄어들었다 . 부족분은 수입이나 2 차 공급원을 통해 충당되고 있다 . 2007 년 동안 진행된 우라늄 농축 용량 증대 계획으로 현재도 프랑스와 미국에서 새로운 농축 설비가 건설 중에 있다 . 목차 원자력 용량 및 전기 발전 핵연료 사이클 요구량 국가별 보고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