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1. 新제조기술 추진 (1) '新제조기술에 의한 대량생산 고도화'를 통한 지역 이노베이션 ○ 산업 성장에는 노동 생산성 상승률과 성장률 양방의 증진이 필수 ○ '新제조기술'+'부가가치 창출 대량생산기술'을 동시에 진행 - 新제조기술 : 제조 방법(IT시스템을 융합한 예측 중시), 제조 장치(고정밀도) - 부가가치 창출 양산기술 : 신뢰성, 단가 감소, 신규성, 다품종화 등 (2) 인재육성 ○ IT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인재 ○ 제조 현장과 밀착할 수 있는 인재 (3) 기대되는 미래 사회 및 기술 ○ 차세대 반도체 디바이스기술에 의한 융합 - 종이보다 싼 실리콘 반도체 정보자원에 의한 의사 결정 - 무선 IC태그 등의 증대 - 달러·엔화를 대체하는 새로운 화폐의 등장, 지갑형 휴대폰에 의한 상거래 - 자동차 운전 로봇, 육체 노동을 대신하는 파워 로봇 등 기능지원 로봇의 등장 - 병원방문없이 가정에서의 원격진료 - 지식 자본주의 : 대량생산에 의한 비용절감을 기본으로 하는 자본주의로부터 지식증가에 의한 비용절감을 도모하는 자본주의 사회 - 인조 장기의 판매 : ES세포 이용 장기 제조 - 인체 개조 ○ 물질 과학 : 양자영역에서의 현상 이해와 제어, 미세 가공(나노기술)과 생체 적합재료 ○ 뇌과학 : '사물'을 보고 이해하는 과정 해명 ○ 산업·서비스별 - 농림수산업 : 식물 공장, 기온·수온의 관리, 일조 시간의 적산 - 의류재료산업 : 웨어러블 디스플레이(Wearable Display) - 주택산업 : 거주 환경 제어, 전자 창고 - 식품산업 : 미각 정량화, 소재와 품질의 이력 관리 - 자동차 산업 : 운전 보조, 전기모터 제어 - 가전산업 : 영상 디스플레이 - 로봇산업 : 오감 인식 - 에너지산업 : 고효율 광전(光電) 변환, 열전(熱電)변환 - 음식서비스 : 품질관리 - 소매서비스 : 품질관리 - 물류서비스 : 유통감시 - 의료·건강 서비스 : 원격진단 2. 산업(지적) 클러스터에 요망되는 새로운 시책(생산기술 혁신) ○ 대기업과 현지 중소·중견 기업과의 협력 ○ 대학·공설시험연구기관의 역할 부족에 대한 대응 ○ 구체성·출구(수치목표)의 명확화 3. '(가칭) 산업기반기술정책연구센터' 창설 ○ 구체적 생산물의 생산 시제품 인프라 역할을 수행하여, 반도체·자동차·로봇 등 일관생산 기업의 과학적인 양산 집적 기술개발에 적극적으로 공헌 ○ 중견·중소기업의 '특정 제조기반기술'의 고도화를 지원 ○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과의 제휴 강화 ○ 과학기술을 기초로 한 생산기술 혁신(이노베이션) 촉진 ○ 부품 생산에서 조립까지 일관·집적된 선도적 新생산기술 지역 창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