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생체 투과성이 좋은 근적외선을 발광하는 단백질의 개발과 이용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12-07 00:00:00.000
내용 암 진단과 치료제로 사용되는 단일클론 항체와 관련하여, 생체 내에서 이들 항체의 움직임 모니터링과 암세포의 가시화를 위한 기술이 꾸준히 요구되고 있다. 현재 양전자방출 단층촬영술 (positron emission tomography)이나 녹색형광단백질 (green fluorescence protein)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여러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일본 산업기술종합연구소와 홋카이도 대학 연구팀은, 생체 투과 파장영역 (파장범위 700~1400nm) 의 근적외선 발광 단백질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이를 의약항체와 결합시켜 표적화함으로써 암세포 위치 추적이 가능한 기술을 개발했다. 근적외선 발광 단백질은 당쇄에 유기형광 염료를 도입하였다. 이 형광염료는 생체 내 화학반응에 의해 근적외선을 발광하며 근적외선은 생체 투과성이 높으므로 외부에서도 관찰이 가능하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ARTI-0000000033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