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호주, 국가 나노기술전략 보고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02-10 00:00:00.000
내용 상원의원이자 장관인 Kim Carr는, 1월 30일 호주의 국가 나노기술전략 연례보고서를 발간하였다(첨부원문 참조). 본 보고서는 호주 나노기술연구소가 작성하였다. 본 보고서의 작성 배경은 나노기술에 대한 정부의 활동을 강조하고 있으며, 대중에 보고서를 제공함으로써 정부 정책의 투명성과 열린 정부를 지향하기 위함이다. 이 보고서를 통해 나노기술의 연구개발에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나노기술은 육안으로 확인하기에는 너무 작은 기술이지만, 우리의 삶을 크게 개선시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전세계가 오늘날 직면하고 있는 많은 문제의 해결에 실마리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미 수질 정화, 암 치료를 위한 약물전달, 연료 소비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디젤 엔진의 촉매와 같은 분야에 이미 사용되고 있다. 호주 정부는 연구, 정책개발 및 대중 인식의 확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나노기술에 대해 자금지원을 하고 있다. 나노기술의 진보는 매우 빨리 일어나서, 상호협력은 이 분야의 연구, 정책 및 규제에 대한 긴밀한 협조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본 보고서는 국가의 나노기술전략 시행의 진행사항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전세계 나노기술 개발에 대한 청사진을 제공하고 있다. 세부내용#1: 2007-2008년 호주 정부의 나노기술 주요 지원 현황(기관/금액/내용) (1) ARC(Australian Research Council- 6,230만 달러): ARC의 National Competitive Grants Program에 의해 신규 및 현존하는 나노기술 관련 분야를 지원하며, 나노기술과 관련된 아홉 곳의 ARC Centres of Excellence 및 세 군데의 ARC 연구 네트워크가 관여하고 있다. 나노기술과 관련있는 프로젝트는 ARC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명에는 나노(nano)라는 용어를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다. (2) CSIRO(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4,000만 달러): 다섯 군데의 거점 연구소 및 몇 군데 연구소가 참여하고 있으며 총 27개의 주제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3) AON(Australian Office of Nanotechnology-142만 달러): 대중 참여 및 정책 조정 활동 (4) NHMRC(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150만 달러): 지출 예측 (5) Auslndustry(980만 달러): R D Start, Industry Cooperative Innovation Program, Commercialising Emerging Technologies (COMET), 및 Commercial Ready 프로그램을 수행 (6) NCRIS(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Infrastructure Strategy-1,910만 달러): ANFF(Australian National Fabrication Facility)를 지원하여, 나노입자, 나노구조, 나노센서 및 나노기술을 이용하는 장치의 최신 제작 설비 연구를 위한 사용된다. 세부내역#2: 활동 영역별 정부지출 구분(분야/금액/%) (1) 보건, 안전 및 환경(Health, safety and environment): 3,170만 달러(22.5%) (2) 수단(Measurement): 80만 달러(0.6%) (3) 대중 인식(Public awareness): 58만 달러(0.4%) (4) 산업(Industry): 1,110만 달러(7.8%) ? R D 및 나노기술의 상업화 (5) 국제 회의(International engagement): 30만 달러(0.2%) (6) 기타(Others): 9,780만 달러(69%) ? 나노기술 개발 및 바이오사이언스, 식품과학, 섬유 및 직물 기술, 재료과학 및 엔지니어링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포함 * www.ndsl.kr (GTB 참조)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TT20090005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