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2009년도 화학물질관리 관계예산요구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8-10-04 00:00:00.000
내용 2009년도 개산요구액 4,022 백만엔 I. 화학물질 관리 분야 (2,547백만엔)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리스크 평가순서와 리스크 관리순서를 사용하여 화학물질이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가져오는 현저한 악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사용, 생산될 것을 2020년까지 달성하기 위해 안전 및 안심, 환경 보전, 산업경쟁력을 동시에 실현하는 화학물질관리를 추진한다. 1. 유해성 평가 및 리스크 평가기반의 정비 (1,742백만엔) (1) 환경안심 이노베이션 프로그램(화학물질종합평가관리) (575백만엔) -화학물질의 최적관리를 지향하는 리스크트레이드 오프 해석기법의 개발 (110백만엔) -구조활성상관기법에 의한 유해성 평가기법 개발 (190백만엔) -석유정제물질 등 간이 유해성 평가기법 개발 (275백만엔) (2) 유해성 평가 및 리스크 평가에 관한 기반정보의 정비 등 (688백만엔) -화학물질의 유해성 평가 및 리스크 평가를위한 기반정보의 정비 및 평가 스킴 확립 (121백만엔) -화학물질에 의한 내분비 교란 작용의시험 및 평가기법의 국제표준화 및 유해성 정보의 정비 (162백만엔) -석유정제물질 적정평가조사 (344백만엔) -화학물질의 시험방법 개발 등 (61백만엔) (3) 나노입자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대응 (478백만엔) -나노입자의 특성 #54197;가기법 개발 (450백만엔) -OECD 화학품 프로젝트 갹출금 (29백만엔) 2. 화학물질규제대책 추진 (622백만엔) -제1종 특정 화학물질 함유제품 등 안전성 조사사업 (46백만엔) -고생산량 화학물질의 국제공동안전성 평가 (80백만엔) -중생산량 화학물질의 안전성 점검 (435백만엔) -잔류성 유기오염물질대책 (61백만엔) 3. 사업자에 의한 자주관리 추진(141백만엔) (1) 화학물질 배출파악관리 촉진법 관련 사업 (65백만엔) -화학물질배출파악관리촉진법 관련 조사 -화학물질배출량 등 데이터 분석 사업 -화학물질 평가관리와 관련된국내외 조사 (2) GHS대응 물질 지정에 관한 조사사업 4. 국제협력 추진 (42백만엔) -OECD 화학품 공동회합 분단금 (13백만엔) -스톡홀롬조약 사무국 경비분단금 (19백만엔) -로텔담조약 사무국 경비분단금 (10백만엔) II. 화학물질 위기관리 분야 화학무기의 폐기와 핵확산금지를 목적으로 한 화학무기금지조약의 국내 실시법인 화학무기금지법의 적확한 실시 등으로 인하여 화학무기 원료가 되는 화학물질에 대하여 필요한 관리를 실시한다. 또한 화학무기금지법 규제 물질을 취급하고 있는 사업소 등이 국민보호법의 틀 구축으로 위험물질 등 취급소에 지정되어 있으므로 국민보호조치의 실시, 위기관리 체제의 구축 등에 필요로 한 체제 및 환경을 정비한다. (1) 화학물질위기관리 및 화학무리금지조약 대책 사업 (48백만엔) III. 프론 등과 관련된 오존층 보호 및 지구온난화 방지대책의 추진 (1,427백만엔) 교토의정서 대상의 대체 프론 등 3가스에 대하여 조약사무국에 제출하는 국내 배출량 정보의 정리를 실시함과 동시에 산업계에 의한 자율적인 움직임 지원 및냉각 프론 회수 및 기술개발 등을 통한 배출량 억제책을 입안 및 실시한다. 또한 오존층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몬트리롤의정서 및 그 국내 담보법의 오전층 보호법에 의거하여 오존츤 보호파괴물질의 생산 및 소비량의 단계적 감축 전폐를 정확하게 추진한다. 1. 프론 등의회수,파괴, 배출억제 추진 (102백만엔) (1)프론대책조사 등 사업 (102백만엔) 2. 프론 등에 관련된 기술개발 (1,325백만엔) (1) 혁신적 논프론계 단열재료기술개발 프로젝트 (288백만엔) (2) 논프론형 에너지절약 냉동공조 시스템 개발 (1,037백만엔)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80261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