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연구위원회 산출물과 경제적인 여파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례 보고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7-11-12 00:00:00.000
내용 목록 도입부 보고형태의 변화 연구위원회의 경제적 여파 (economic impact)에 관한 기고 지표 (indicator) 와 데이터에 관한 논평 경제 전반에 걸친 영향 지식 창출 표 1: 지식 창출: 공개 지식 보유고 표 2: 지식 창출: 인적자원 프레임워크 조건 표 3: 프레임워크 조건: 국민참여 표 4: 프레임워크 조건: 재정 안정성 지식 교환 효율성 표 5: 지식 교환 효율성- 공동연구와 상업활동 표 6: 지식 교환 효율성- 연구위원회 기금 지원 PhD 전문가의 취업률 및 분야별 비율 부록 : 기존의 output1, 2 카테고리와 새로운 경제 여파 보고 프레임워크(EIRF)의 비교 도입부 이 발간물은 연구위원회의 Output Framework에 관한 두 번째 연례 보고서이다. 산출물에 관한 최신 데이터 논평을 담고 있는 이 보고서는 2006년에 처음 수집되고 2007년 올해가 수집 2회째로 그 역사가 짧기 때문에 동향을 추론하기는 이르나, 앞으로도 매년 데이터 수집을 계속한다면, 동향 분석에 있어서 혁신 대학 기능부와 연구위원회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보고형태의 변화 과학혁신투자기본계획 2004-14(10개년 프레임워크로 지칭)는 과학과 혁신을 증진하기 위한 영국 정부의 장기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정부는 매년 일년의 지표를 보고함으로써 이러한 비전에 대한 진척상황을 파악한다. 2007년, 정부는 그 지표들을 조직화하여 경제 전반에 끼치는 효과를 모형화 하기 위해 경제적 여파 보고 프레임워크( Economic Impact Reporting Framework: EIRF)를 도입하였으며, 일련의 지표와 증거를 바탕으로 다음 카테고리와 영향인자(influence factor)에 따라 과학혁신시스템의 건전성을 평가한다. 카테고리 : 1. 경제 전반의 여파 2. 혁신 결과 및 산출물 3. 지식 창출 4. 연구기반에의 투자와 혁신 영향인자 (influence factor) A: 프레임워크 조건 B: 지식 교환 효율성 C: 혁신에 대한 수요 2007년에는 새로 도입한 EIRF를 연구위원회의 산출물 데이터에 적용하였고, 앞으로도 계속 EIRF에 따라 데이터를 평가하고 보고할 예정이다. 단, 각 연례 보고서끼리 비교 가능하도록 기존 지수(indicator) 자체에 실질적인 변경은 하지 않고, 단지 형태와 카테고리만 변경하였다. 기존의 주요 분류 카테고리는 “Output1 – 연구기반 (Output 1 – A healthy UK research base)” 과 “Output2 – 연구기반의 활용( Output 2 – Better exploitation of the research base) ” 두 가지였으며, 산출물1과 2 내에서 다양한 메트릭(metric)이 많은 특징에 따라 수집되었다. 부록에 기존의 Output 1과 2 카테고리와 새로운 EIRF 카테고리를 비교한 도표가 나와있다. 연구위원회는 EIRF로 이동하는 과도기적 대안으로써 메트릭(metric)들이 이 Output1과 2 중 어디에 속하는 지를 밝혀서 2006년 보고서와 수월하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EIRF에 따라 모델화 된 과학혁신시스템의 전달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 연구의 경제적 여파는 기업과 정부의 혁신 결과물과 산출물을 통해 전달될 것이다 . 이들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새로운 재화와 용역, 공공서비스를 창출해 내기 때문이며, 이것이 곧 생산성의 향상 및 성장 복지로 이어지게 된다. - 혁신 산출물은 연구기반과 혁신에의 투자 , 그리고 그 연구기반에 의해 창출된 지식의 양과 질을 반영할 것이다. - 혁신 , 지식 창출, 투자 이 세가지 구성요소가 얼마나 성공적으로 경제에 영향을 끼치느냐의 문제는 이 구성요소들이 얼마나 유기적이고 효과적으로 작용하느냐에 달려 있으며, 많은 영향인자들 또한 이에 영향을 끼칠 것이다. 연구위원회의 경제 여파에 대한 기고 다음은 연구위원회가 이 보고서에서 데이터 분류에 사용한 EIRF 카테고리와 영향인자이다. 연구기반과 혁신에의 투자 경제 전반 여파 지식 창출 : 공개 지식 보유고 지식 창출 : 인적 자본 영향인자 : 프레임워크 조건 : 국민 참여 프레임워크 조건 : 재정적 안정성 지식 교환 효율성 데이터 보고는 EIRF의 카테고리 및 영향인자 전반에 걸쳐서 공평하게 이루어지기 보다는 주로 지식 창출과 지식 교환 그리고 몇몇 프레임워크 조건에 관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향후 영향인자가 더 많이 개발될 것이지만, 이것 역시나 연구위원회 활동과 더 깊은 관련이 있는 일부 인자에 관해서 중점적으로 보고될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에는 전체 연구위원회(아래 참조)에 관한 자료가 담겨 있다 . 예술·인문연구지원회 ( AHRC: Arts and Humanities Research Council) 생명공학 및 생명과학 자원연구위원회 ( BBSRC: Biotechnology and Biological Sciences Research Council) 연구위원회 중앙 연구소지원 위원회 ( CCLRC: Council for the Central Laboratory of the Research Councils) 경제 및 사회연구위원회 ( ESRC: Economic and Social Research Council) 공학 및 물리학 연구위원회 ( EPSRC: Engineering and Physical Sciences Research Council) 의학연구위원회 ( MRC: Medical Research Council) 자연환경연구위원회 ( NERC: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Council) 입자물리학 및 천문학 연구위원회 ( PPARC: Particle Physics and Astronomy Research Council)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70229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