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2007년도 환경성 예산안 주요신규사항등의 개요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7-01-02 00:00:00.000
내용 1. 교토의정서 제1약속기간을 위한 지구온난화 대책 가속화 등 · 바이오매스 에너지 도입 가속화 전략-9939백만 엔 · 솔라 대작전-4800백만 엔 · 풍력발전 시설에 관련된 적정 정비 추진사업-230백억 엔 · 온실효과가스의 자주 삭감 목표 설정과 관련된 설비보조사업-3000백만 엔 · 국내 배출량 거래 추진사업-250백만 엔 · 국립공원 등 민간활동 특정 자연환경 보전활동 사업비-300백만 엔 · 지구온난화 방지 대규모 “국민운동” 추진사업-3000백만 엔 · 바이오매스에너지 등 중핵적 온난화 대책기술전략 책정조사-20백만 엔 · 교토메커니즘 크레디트 취득사업-7326백만 엔 · CDM/JI사업조사-670백만 엔 · 대체 프론 등 3가스 배출억제 대책강화 추진비-16백만 엔 · non-fluon 추진방책 검토 조사비-8백만 엔 · 지구온난화 대책 기술개발사업(경쟁적 자금)-3302백만 엔 · 지구환경연구종합추진비(경쟁적 자금)-2960백만 엔 · 온실효과가스 배출량· 흡수량 관리체제 정비비-250백만 엔 · 복수사업자 제휴 등에 의한 배출삭감 대책 평가사업-30백만 엔 · 차기 국제구조에 대한 일본 이니셔티브 추진경비-100백만 엔 · 쿨시티 중추가구(中?街?) 지방분권 특례제도 사업-700백만 엔 · 쿨시티 추진사업-178백만 엔 · 이산화탄소 삭감의 도시구축을 위한 면적(面的)대책추진사업-250백만 엔 2. '아시아 환경행동 파트너십 구상' 구체화를 비롯한 중동, 주변 섬나라 등 세계 각 지역과의 제휴를 시야에 넣은 지구환경보전 · 기후변동영향 모니터링, 평가네트워크 구축 등 경비-260백만 엔 · 동아시아의 산성비 등 광역 환경정책 형성 추진 사업비-11백만 엔 · 황사대책추진비-25백만 엔 · 해양환경 모니터링 다양화 추진비-10백만 엔 · POPs(잔류성 유기 오염물질) 조약 종합추진비의 일부-23백만 엔 · 아시아 태평양 지역생물 다양성 보전 추진비-116백만 엔 · 아시아 신에너지, 에너지절약 프로그램 CDM 사업조사-150백만 엔 · 3R 이니셔티브 국제추진비-120백만 엔 · 국제환경 협력강화를 위한 정보, 인재 기반의 정비-5백만 엔 · 지속가능한 아시아를 위한 대학원 등의 환경인재 육성전략사업-68백만 엔 · 아시아 태평양 에코 라이프스타일 보급계발비-3백만 엔 · 환경성 외국어판 홈페이지 충실강화-20백만 엔 · G8 환경부장관 회합 개최 준비 등 경비-50백만 엔 · 한중일 3개국 환경부장관 회합관계 경비-23백만 엔 · 위법 벌채의 대응 및 환경 영향조사비-8백만 엔 · 표류, 표착 쓰레기 관련 국내 삭감방책 모델 조사비-350백만 엔 · 재해 폐기물 처리사업비 보조금-100백만 엔 · 화학물질 국제협력비-36백만 엔 · 세계의 수환경보전을 위한 국제적 활동 경비-119백만 엔 · 2008년 사라고사 국제박람회의 보급계발 사업조사-9백만 엔 · 제10회 생물다양성 조약체결국회의 초청 준비 경비-5백만 엔 · 중동지역 등 환경제휴강화비-14백만 엔 · 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 지역과의 환경제휴강화비-14백만 엔 3. 아끼는 마음의 3R 추진과 불법투기대책 · 새로운 순환형 사회형성 추진기본계획의 책정사무경비-11백만 엔 · 폐기물 처리시설 정비비(순환형 사회형성 추진교부금 등)-84261백만 엔 · 폐기물 처리시설의 온난화대책사업-2117백만 엔 · 폐기물 처리 등 과학연구비 보조금(경쟁적 자금)-1261백만 엔 · 바이오매스계 폐기물의 리사이클 에너지 이용을 위한 데이터베이스화, 모델 시스템화 조사-10백만 엔 · 시읍면의 폐기물 처리사업의 3R화를 위한 개혁조사비-15백만 엔 · 가전 리사이클 추진사업비-43백만 엔 · 식품 리사이클 추진사업-9백만 엔 · 용기포장 관련 3R 추진사업비-52백만 엔 · 아시아의 자원순환 추진방책에 관한 전략적 검토-35백만 엔 ·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전기전자 기기 폐기물 적정 관리사업-42백만 엔 · 순환형 사회 형성 추진교부금(정화조분)-13296백만 엔 · 소규모 사업장에서의 정화조 기술적용조사-7백만 엔 · 산업폐기물 처리업 우량화 추진사업비-56백만 엔 · 석면 함유 폐기물 무해화 처리기술 인증사업비-10백만 엔 · 저농도 PCB 오염물의 적정처리 실증조사사업-28백만 엔 4. 환경, 경제, 사회의 총합적 향상을 위한 기반구축 등 · 커뮤니티 펀드 등을 활용한 환경보전 활동 촉진사업-111백만 엔 · 환경배려형 경영촉진사업 관련의 이자보급사업-183백만 엔 · 환경금융보급 촉진사업-25백만 엔 · 정부 등의 그린 구입 추진경비-39백만 엔 · 학교 보수 및 환경교육사업-1845백만 엔 · 국제연합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교육의 10년 촉진사업-42백만 엔 · 환경교육 출장교재 보급사업-21백만 엔 · 지구환경정책 비전 책정추진비-20백만 엔 · 환경기술개발 등 추진비(경쟁적 자금)-881백만 엔 · 나노기술을 활용한 환경기술개발 추진사업-453백만 엔 · 지역 산학관 제휴에 의한 환경기술 개발 기반정비 모델사업-48백만 엔 · 환경정책 초장기 비전책정-24백만 엔 · 환경영향 평가제도 등 추진비-28백만 엔 · 환경 데이터의 정비 이용 추진비-26백만 엔 5.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자연과의 공생추진 · 제3차 생물 다양성 국가전략 실시 등 추진비-60백만 엔 · 세계 자연유산 후보지 등 검토 조사비-26백만 엔 · 시레토코(知床) 세계자연유산지역의 보존, 공생추진조사비-65백만 엔 · 시레토코 세계유산센터(가칭) 정비사업비-345백만 엔 · 산호보전 행동계획 책정사업비-20백만 엔 · 외래생물대책관리사업비-91백만 엔 · 특정외래 생물방제 등 추진사업-350백만 엔 · 희소 야생동물 야생순화 특별사업비-82백만 엔 · 동물 애호관리 추진비-87백만 엔 · 금수 보호관리 관련 인재육성사업-34백만 엔 · 수입 조류 적정관리 추진비-21백만 엔 · 자연공원 등 사업-11767백만 엔 · 국립, 국정공원 총점검 사업비-31백만 엔 · 광범위한 관계자 참가로 매력적인 국립공원구축 추진사업-18백만 엔 · 경관 형성 추진사업-14백만 엔 · 국립공원 등 관리체제 강화비-244백만 엔 · 온천보호, 적정이용 대책비-25백만 엔 · 산악환경 등 정화, 안전대책 긴급사업비 보조-150백만 엔 · 자연재생 활동추진비-50백만 엔 6. 안전, 안심, 쾌적한 생활환경의 보전 · 자동차 배출 질소산화물 및 입자상 물질총량 삭감대책비-193백만 엔 · 자동차 사용 합리화 추진사업-130백만 엔 · 소음 및 진동 평가방법 및 규제방법 등 검토조사-43백만 엔 · 아시아 EST 실현을 위한 기술지원-35백만 엔 · 지역의 건전한 수순환 확보를 위한 촉진조사-21백만 엔 · 풍부한 연안 환경회복을 위한 폐쇄성 해역 수환경 보전 중장기 비전 책정조사-68백만 엔 · 오염토 재생 이용촉진 검토조사-12백만 엔 · PCB오염토 대책 가이드라인 책정 조사-19백만 엔 · 기름 오염 등 오염토양 대책 촉진비-22백만엔 · 소아의 취약성을 고려한 리스크 평가검토조사(소아 환경보건 연구프로젝트)-83백만 엔 · 농약 흡입 독성 평가방법 확립조사-109백만 엔 · 종합적인 화학물질 규제제도의 도입 검토조사-34백만 엔 · 제품 중의 유해화학물질 모니터링 조사-17백만 엔 · 화학물질 심사규제 등 국제제휴 추진사업-22백만 엔 · 화학 사고 종합대책검토조사-21백만 엔 · 꽃가루 관측 체제정비비-102백만 엔 · 미나마타병 종합대책관계 경비-3618백만 엔 · 국지적 대기 오염의 건강영향에 관한 면역학 조사-593백만 엔 · 일반환경 경유로 인한 석면의 건강리스크 평가에 관한 조사-68백만 엔 · 일반환경 경유로 인한 석면의 건강영향 조사-30백만 엔 · 피인정자에 관한 의학적 소견 등의 해석조사-12백만 엔 · 석면대책조사-51백만 엔 · 아시아국의 석면대책 기술지원비-13백만 엔 · 이바라키현 카미즈시의 유기비소화합물 오염 등의 긴급 대응책에 필요한 경비-887백만 엔 *yeskisti 참조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70000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