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교과부, 「이공계인력 육성ㆍ지원 기본계획('06~'10)」2009년도 시행계획(안) 확정ㆍ추진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03-18 00:00:00.000
내용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이공계인력 육성ㆍ지원 기본계획('06~'10)」2009년도 시행계획이 3월 17일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위원회에서 확정되었다고 밝혔다. ○ 동 시행계획은 이명박정부 출범 후 변화된 이공계인력 정책환경을 반영하여 지난해 12월 국과위(운영위)에서 수정ㆍ확정된 「이공계인력 육성ㆍ지원 기본계획('06~'10)」을 실천하기 위한 각 부처(교과부, 지경부 등 6개 부처)의 세부 추진계획을 담고 있다. □ 2009년 시행계획은 5대 영역, 15개 중점 추진과제, 115개 세부과제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2008년 시행계획의 추진과제인 90개에 비해 25개가 증가한 것이며 그 중 17개는 신규과제이다. ○ 2009년에는 이공계인력 육성ㆍ지원에 6개 부처에서 총 1조 5,594억원을 투자하게 되며, 이는 2008년(1조 3,930억원) 대비 1,955억원(14.7%)가 증가한 규모이다. □ 2009년 시행계획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1영역]이공계 대학교육 제도 개선 (예산 : 340억원) ○ 대학자체평가 활성화 지원 및 대학정보공시제 정착 노력 - 대학 외부 평가ㆍ인증기관에 대한 정부 인정기준 확정('09년 상반기) ○ 성과중심 재정지원으로 대학 자율적 성과관리 강화 - 포뮬러 지표 정교화 및 성과관리 강화 연구('09년 상반기) ○ 이공계 융합교육 연구센터를 통한 교육 확대 - '09년 수혜자 수 2,000명 목표, 기존 2개 센터(연세대, 한동대) 계속 지원 ○ 공학교육인증제도의 정착 추진 - 공학교육 인증평가 지속 실시(250개 프로그램 인증) [2영역]핵심 연구인력 양성 (예산 : 7,151억원) ○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 - WCU 2차 사업과제 선정, 270억원 지원, WCU-Nobel 포럼 개최 ○ '선도연구센터육성사업'으로 전환하여 우수연구집단육성 효율화 - 우수연구센터(SRC/ERC) 53개 계속 지원 및 6개 내외 신규 지원 - 기초의과학연구센터(MRC) 29개 계속 지원 및 2개 내외 신규 지원 ○ 이공계 대학생 장학기회 확대 및 학생연구원 인건비 지급 개선 - 이공계대학 장학생 선발 확대('08년17,610명→'09년23,060명) - 연구비 중앙관리제 A등급 대학 대상 학생연구원 인건비 지급제도 개선방안 적용 ○ 과학영재의 체계적 육성을 위한 과학영재교육 확대 및 질 제고 - 과학영재교육 수혜자 비율을 0.75%로 확대, 과학영재학교 '12년 4개교 운영 - 학부생연구프로그램(URP) 100개 과제 및 Honors Program 시범사업 추진 [3영역]우수인력 국제교류 확대 (예산 : 932억원) ○ 해외 우수 과학기술자의 국내 유치·활용 활성화 - 출연(연)별 우수연구센터 중심으로 해외 우수인력 유치 확대 - 정부초청 우수 외국인 유학생 유치 강화('08년 1,020명→'09년 1,150명) ○ 해외 인턴십 기회제공으로 글로벌 감각을 갖춘 핵심인재 양성 - 전문대학생 해외 인턴십 지원 확대('08년 30억원→'09년 51억원) - 4년제 대학생 해외인턴십 신규 추진('09년 300명) ○ 해외 우수연구자와의 공동연구를 통한 인적교류 확대 - 글로벌 연구실 설치·운영 확대('08년 22개→'09년 27개) -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참여지원 확대('08년 14개→'09년 15개) ○ 해외 과학기술자 유입촉진을 위해 국내 연구ㆍ정주여건 개선 - 서울 또는 대전지역에 외국인연구자 생활상담센터(1개) 설치 추진 [4영역]수요 지향적 인재 양성 (예산 : 4,385억원) ○ 권역경제권 중심의 산학협력 및 인력양성 체제 강화 - 광역권 선도산업별 1~2개의 거점대학 신규 선정ㆍ지원('09년 20개) - 지역혁신인력 양성 과제 확대(90개 신규 지원) ○ 녹색성장 및 신기술 융합분야 연구인력 양성 체계 강화 - 미래 친환경 건설산업 전문인력 양성센터 선정('09년 2개) - 전문 임상경험과 연구력을 겸비한 의과학자 과정 지원 확대(50명 신규 지원) ○ 산학협력을 통한 기술인력의 현장적응력 제고 - 기업-전문계고(전문대) 연계 맞춤형 인력양성사업 확대('08년 65개→'09년 75개) - 마이스터고 지정ㆍ육성('08년 8개교→'09년 20개교) ○ 이공계분야 신규 일자리 발굴 및 취업 지원 확대 - 중소기업 고급연구인력 고용 지원('08년 793명→'09년 950명) - 이공계대졸 미취업자 전문연수 및 기업연수('09년 2,000명) [5영역]이공계인력 육성ㆍ활용 기반 확충 (예산 : 2,786억원) ○ 핵심 과기인력 연구활동 지원 및 퇴직과학기술인 활용체제 강화 - 차세대 연구자 발굴('09년 307억원), 중견연구자 연구역량 강화('09년 2,100억원) - 퇴직과학기술자(테크노닥터) 채용 지원('09년 117명 이상) ○ 국민의 과학기술이해도 제고 및 이공계인력 통계인프라 구축 - 생활과학교실 운영 개수 확대('08년 1,427개→ '09년 1,451개) - 국가 R D 참여인력ㆍ평가인원 DB확대 구축(참여인력 '08년 7.1만 →'09년 8만/ 평가위원 '08년 2.3만 →'09년 2.5만 ) □ 이번에 확정된 각 과제들은 소관부처에서 자체적으로 추진하게 되며 교과부는 매년 전년도 추진실적을 점검하고 다시 국과위(운영위)에 보고하게 된다. ○ 금년에는 2008년에 추진된 시행계획을 점검하며, 그 결과는 오는 4월 보고할 예정이다. ☎ 2100-6236 과학기술인력과장 직무대리: 박상민사무관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DT20090018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