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중국, 11차 5개년 계획 기간 '위성 최다 발사' 추진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8-02-25 00:00:00.000
내용 지난 2월 19일, 중국 '베이징(北京) 우주 항공 거점'에서 개최된 '제2회 중국 우주 공간 기술 포럼'에서 발표된 관련 내용에 따르면, 2008년도는 중국이 위성을 제일 많이 발사하는 '위성 최다 발사 연도'가 될 것이며, 중국 정부는 '선저우(神舟) 7호 우주 비행선', '환경 1호 A 위성', '펑윈(風雲) 2호 기상 위성'과 '베네수엘라(Venezuela) 통신 위성' 등 약 10개에 달하는 위성을 우주 공간에 발사하게 될 것이다. 중국 '국가 11차 5개년 계획' 기간에 중국 정부는 연 평균 8개 이상의 위성을 우주 공간에 발사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 설명에 따르면, 중국이 발사하게 될 '선저우 7호' 우주 비행선 연구 개발을 통해 중국은 '우주 비행사가 우주 비행선 선창 밖으로 나와 활동을 하게 되는 중대 핵심 기술 연구'를 실행하게 됨으로써 '다음 단계 우주 공간 비행 장비 간의 도킹과 우주 정거장 건설'을 위한 기술 기반을 구축하게 될 것이다. '환경 1호 A 위성'과 '환경 1호 B 위성', 오는 2009년도에 발사될 '환경 1호 C 위성'은 중국 최초의 '환경 및 재해에 대한 감시 측정과 예측 경보'에 활용되는 '시리즈 소형 위성'이 될 것이며, 중국 전역의 환경 및 자연 재해 상황에 대해 '대 범위, 전천후(全天候), 전천시(全天時), 실시간 감시 측정과 예측 경보'를 실행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중국 우주 항공 과학기술 그룹' 산하 '중국 우주 공간 기술 연구원' 양보우화(楊保華) 원장의 설명에 따르면, 지난 40년 간의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현재 중국의 '우주 항공 장비 연구 개발 능력'은 뚜렷이 향상되었으며 '우주 항공 장비 발사 밀도', '성공 비율', '궤도 상에서의 운행 안정성', '신뢰성'은 모두 대폭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우주 항공기 연구 개발 사이클'도 뚜렷이 단축되었고 '사용 수명도' 대폭 연장되었다고 한다. 지난 '9차 5개년 계획' 실행 전에 중국은 연 평균 1.5개에 달하는 위성을 우주 공간에 발사하였지만 '11차 5개년 계획' 기간에는 연 평균 8개에 달하는 위성을 우주 공간에 발사하는 수준에 도달하였다. 중국의 '반환식 원격 탐사 위성'이 궤도 상에서 작업한 시간은 과거 3일에서 현재 27일로 증가하였으며, '뚱팡훙(東方紅) 3호 공공 플랫폼'에 기반하여 개발된 '중싱(中星) 22호 통신 위성'의 사명 수명은 8년을 초월하였으며 '뚱팡훙 4호 공공 플랫폼'에 기반한 '대형 파워, 고 신뢰도, 장 수명, 대 용량(容量)의 통신 위성'의 디자인 수명은 15년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개발 사이클이 26개월 밖에 되지 않는 '나이지리아(Nigeria) 통신 위성'의 성공적인 개발 및 납품은 중국이 '위성 완제품'을 수출하는 면에서의 '0의 돌파'를 실현하였다. 중국의 '창어(嫦娥) 1호 위성' 기술 수준은 현재 세계 동 유형 '달 탐사 위성'의 선진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창어 1호 위성' 개발은 '프로젝트 확정'에서 '발사 성공'까지 33개월 간의 시간 밖에 걸리지 않은 상황이다. 관련 설명에 따르면, 이번 '제2회 중국 우주 공간 기술 포럼'은 '중국 우주 항공 과학기술 그룹' 산하 '중국 우주 공간 기술 연구원' 설립 40주년을 기념하여 개최되었다. '중국 우주 항공 과학기술 그룹' 산하 '중국 우주 공간 기술 연구원' 양보우화 원장은 이번 '포럼'에서 '중국 우주 공간 기술 성과 및 전망'이라는 테마로 주제 발표를 하였다. '선저우 우주 비행선', '창어 위성' 등 '9대 시리즈 우주 항공 장비 시스템 설계'를 담당한 전문가들이 이번 '포럼'에서 '유인 우주 비행선', '달 탐사 위성', '베이더우(北斗) 방향 유도 위성', '기상 위성', '통신 위성', '반환식 위성', '지구 자원 위성', '해양 위성', '두 개의 과학 탐사 위성' 등 '전문 위성 연구 개발 분야에서 달성한 연구 성과'에 대해 소개하였으며, '미래 중국 우주 항공 장비 연구 개발 분야 발전 전망'에 대해서도 폭 넓은 분석을 진행하였다. * yesKISTI 참조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80039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