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SPAN gt; 센티넬 아시아 step2 제 1 회 공동 프로젝트팀 회의 결과 * 센티넬 아시아 개요 - 지구관측용 위성을 통해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재해위기 관리정보 시스템을 구축한다 . 이에 대한 실질적 조직으로써 2006 년 2 월에 공동 프로젝트팀이 설립되어 step1 의 활동을 시작했다 . -Step2 는 2008 년부터 2012 년까지 활동하며 , 올해 6 월에 일본 고베시에서 제 1 회 공동프로젝트팀 회의를 개최하였다 . - 현재 센티넬 아시아에는 20 개국 51 기관 , 8 개의 국제기관이 참가하고 있다 . * 센티넬 아시아 step1 의 주요 성과 (1)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재해발생 20 건 중 15 건에 대해 위성화상을 제공했다 . (2) 워킹 그룹에서 핫스폿데이터와 , 적산우량데이터를 웹사이트에 공개했다 . (3) 기상청과 ' 히마와리 6 호 ' 의 화상데이터를 웹사이트에 공개했다 . (4) 지구관측용 위성인 일본의 ' 다이치 '(ALOS) 와 함께 인도의 'IRS' 도 제공하였다 . (5)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이용자에게 센티넬 아시아 시스템의 이용훈련과 위성데이터의 이용훈련을 실시했다 . * 제 1 회 공동 프로젝트팀 회의 결과 - 아시아태평양의 18 개국 30 기관과 7 개의 국제기관이 참석 1. 각국의 공헌 확대 (1) 위성화상제공 - 일본 , 인도와 더불어 step2 에서는 한국 , 태국도 위성화상 제공을 검토 중이다 . (2) 재해시 위성화상 해석 - 화상제공기관 이외에서도 해석처리를 공유하기로 했다 . (3) 능력개발 ( 위성데이터 이용훈련 , 센티 시스템 이용훈련 ) 실시 (4) 센티넬 아시아 활동지원 2. 워킹그룹 활동 - 빙하호 모니터링 ( 부탄 ), 농업 관개 ( 네팔 , 필리핀 ) 등 새로운 재해에 대한 활동이 제안되었다 (1) 홍수워킹 그룹 - 홍수시뮬레이션 실현 , 해저드맵의 작성 등을 목표로 활동한다 . (2) 산불 워킹 그룹 - 화재 지속 예측 등의 정보를 각국의 소화조직에 제공하여 산불 억제를 목표로 활동한다 . 3. 재해위기관리 정보 시스템 - 유저가 이용하기 쉬운 운영 시스템을 JAXA 가 개발하여 제공한다 . 이로써 재해정보의 발신 , 참가국끼리의 정보교환이 자연스러워진다 . (1) 아시아 각국에서 제공되는 위성화상 (2) 위성화상 해석 실시기관의 해석 가능한 위성데이터 제공 및 해석 결과 (3) 네트워크 인프라가 정비되어 있지 않는 지역에 ' 키즈나 '(winds) 로 데이터를 제공 4. 정리 - 센티넬 아시아는 우주기관과 방재기관 및 대학 등의 연구기관과 밀접한 연대를 가지고 종합적인 업무를 하고 있다 . 특히 이번 step2 에서 각국의 방재기관 스스로 위성데이터의 처리 , 해석을 하는 것은 실무에 대한 위성이용의 정착을 의미하기 때문에 큰 진전이다 . - 지구관측 위성시스템으로 재해관련정보를 전하여 그 데이터를 가지고 각 방재기관에서 적절히 대응하는 과정을 휴먼네트워크로 이루어지게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