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오늘날 미국을 비롯해 지구 전역에서 기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다가올 미래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결정 입안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본 보고서를 마련하게 되었다. 미국 기후 변화 과학 프로그램(CCSP: U.S. Climate Change Science Program)에서는 기후 변화에 관한 각종 연구 결과를 취합하여 본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지구 평균 온도가 상승함과 더불어 미국의 평균 온도 역시 20세기와 21세기 내내 상승하고 있다. 게다가 최근 십 년은 미국 역사상 가장 온난한 시기였다. 다음은 각종 지표를 통해 살펴본 미국의 기후 변화 현황이다: - 1950년 이후로 열파 발생 건수가 증가하였다. 반면, 한파의 발생 건수는 현저히 줄었다. - 미국 내륙 지역에서 연간 강수량이 전반적으로 증가했다. 집중 호우 발생이 증가하였다. - 연간 강수량에서 강우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 지난 50년 간 가뭄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 1978년~2005년 기간 동안 북극의 빙하가 상당히 감소했다. (미국 내 기후 변화의 원인은 무엇인가?) 속성 연구(attribution studies)에 따르면, 지표 온도 상승의 책임은 인간에게 있다고 한다. 특히 온실 가스의 증가가 기후 변화의 주범인 것으로 나타났다. - 1915년~2004년 사이 북아메리카 지역에서는 강수량의 증가로 눈에 덮인 지역이 증가하였다. - 해수면 상승과 관련해서, 대서양과 멕시코 만 주변의 해수면은 매년 0.08~0.12 인치씩 상승하고 있다. - 북대서양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태풍과 허리케인의 연간 발생 숫자가 지난 100년간 증가하였으며, 동기간에 대서양 해수면 온도 또한 상승하였다. - 금세기 내에 북아메리카 전 지역이 지구 평균 상승폭을 상회하는 온도 상승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북아메리카에서 비정상적인 열대야 및 열파 발생이 빈번할 것으로 예상되며, 반면 한파는 훨씬 뜸할 것으로 예상된다. - 21세기에 북아메리카 지역의 강수량은 빈도는 줄고 강도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 눈 덮인 지역이 차츰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금세기 말이면 북극해의 여름 빙하는 모두 녹을 것이며, 이는 2040년으로 앞당겨질 수도 있다. - 해수면 상승으로 미국 내 건조 지역이 득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 북대서양의 경우, 온실 가스의 증가로 인해 허리케인 동반 폭우와 풍속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허리케인의 숫자에 변동이 있을 지는 확실치 않다. (기후 변화가 미국에 끼친 주요 영향) 온도 상승,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 강수량 양상의 변화 등으로 미국의 수자원, 농업, 육상 자원, 생물다양성, 인체의 건강 등은 이미 영향을 입고 있다. 향후 수십 년 동안 기후 변화는 이들 자원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자연 환경) 생태계는 인류에서 수많은 자원을 제공하고 인류의 건강과 안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여러 생태계가 금세기에 탄성을 상실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 기후 변화, 홍수와 가뭄 등의 재난, 기타 토지 이용의 변화와 오염 등 전 지구적 변화 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 북아메리카의 경우, 온난화로 인해 종의 극지방 및 고위도 이동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농업) - 여러 곡물 가운데 토마토나 양파처럼 시장에 판매되는 원예작물이 기후 변화의 영향을 더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여름철 강수량의 증가로 작물 생산량이 감소하겠으나, 대신 겨울철 온도 상승이 이를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수자원) 기후 변화로 인한 변수의 발생으로 향후 계획 수립 시 더 이상 과거의 자료에 의존하지 못하게 되었다. - 하천의 온도가 상승해 수자원 품질 등에 영향이 갈 것으로 예상된다. - 만년설이 일찍 녹게 됨에 따라, 저수 체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건강) - 기후 변화는 동물과, 수자원, 식품과 관계된 질병을 야기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지역에서 질병 매개체나 병원체가 살지 못하도록 조처해야 한다. (에너지) 에너지 부문은 다음과 같은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게 된다: - 기상 악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 수력 발전 및/또는 화력 발전소 가 들어선 지역에서 물 공급이 감소한다. - 기후 변화가 발생하는 지역에서 바이오매스, 풍력 발전, 태양 에너지 발전 등에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영향을 받게 된다. 목차 제 1 장. 요약 제 2 장. 도입 제 3 장. CCSP가 실시한 전체 경과 평가서 제 4 장. 전 지구적 환경 변화의 추세와 전망 제 5 장. 전 지구적 변화가 자연 환경과 인간 체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