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을 실시하기 위하여, 중국기상청, 수리청, 농업청, 국가환경보호총국, 국가림업청, 중국과학원, 국가해양청 등 7개 부의 100여명의 전문가가 을 공동으로 제정하여 9월 11일에 공포했다. “중국 기후 관측 시스템 실시방안”의 건설은, 기존의 기후 시스템 관측관 관련된 부문의 업무관측망( #32593;)을 이용하여 대기와 해양, 대륙, 생태, 환경 등 서로 작용하는 정보자원의 수집능력을 강화하고; 기상, 수문(水文), 농업, 환경, 해양, 림업, 중국과학원 등 여러 부문의 업무관측망 및 기타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집성을 통하여 통일, 규범화된 기후 시스템 업무 관측망공정체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효율적인 기후 시스템 관측 체계의 관측 질량에 대한 평가와 피드백 메커니즘을 구축하고; 규범화된 기후 시스템 관측 데이터를 저장, 처리하여 기후 시스템관측과 정보자원의 전면적이고 다방면 공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중국 기후관측 시스템은 총 16개의 중점 관측지역을 포함한다. 그 중, 남방, 동부, 남부연해지역과 내륙의 분지에 위치한 대표적인 도시군락의 경제특별구를 인류활동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및 지역기후 효과를 중점 관측지역으로 한다. 대표적인 중국 농업의 3대 곡물창고인 동부, 황해·회해, 장강중하류지역의 건조지역, 관개지 및 수전이 다른 농업생태지역을 선택하여 온대지역, 아열대지역의 삼림생태지역의 기변화가 농업, 초원, 습지, 삼림생태 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점 관측지역으로 한다. 발해 주변지역, 해남도, 서사군도을 전 지구 기후 변화와 지역해양 중점 관측지역으로 한다. 그리고 고원황막, 고비사막, 병천, 초원을 전형적인 륙지 지면의 경계층 구조와 전 세계 변화지역의 중점 관측지역으로 한다. 중국 기상청 청장 쩡꿔광(鄭 #22269;光)은 상기 방안의 발표는 중국의 기후변화에 대한 모니터링, 예측, 평가에 대하여, 특히 모니터링 기후변화가 국가지속발전을 위한 기후변화의 대응업무에 대하여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