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Sian Harris는 연구 자금 제공자가 왜 오픈액세스를 다루려고 하는지에 대하여 접근성의 몇 가지 방법을 살펴본다. 지난 몇 년간 오픈액세스 분야에 대해 여러 국가 및 연구 지원금 제공기관 등에서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다. 최근 몇 개월 동안 노르웨이, 중국 그리고 멕시코에서도 이와 관련된 새로운 내용을 공지 사항을 발표한 바 있다. 예를 들어, 노르웨이의 연구위원회(Research Council of Norway)는 오픈액세스 저널의 출판 비용 지불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5개년 자금 조달 방식을 발표한 바 있다. 이 연구위원회의 자금 조달은 위원회의 연구자금 지원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노르웨이의 연구 기관에 열려 있는 새로운 방식으로, 이를 위해 연간 8,000,000 크로네(NOK)를 따로 설정하고 있다. 연구 기관은 오픈액세스 저널의 출판에 관해 비용의 50%를 충당하기 위한 자금을 신청할 수 있다. 연구위원회는 과학 분야 출판물의 오픈액세스에 대한 정책 역시 개정했다. 개정된 정책은 연구위원회의 연구 자금을 지원받은 연구자들을 격려하기 위한 것으로, 그들의 연구 결과물을 오픈액세스 저널에 게시하도록 하고 이에 더하여 연구위원회의 지원을 받은 모든 연구 결과물을 셀프 아카이빙하도록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중국과학원(Chinese Academy of Science)의 연구원 및 대학원 학생들이 학술지에 공식적으로 실린 출판물의 최종 버전을 12개월 이내에 해당 기관의 오픈액세스 리포지터리에 등록하도록 의무화 하고 있다. 또한, 중국국립자연과학재단(National Natural Science Foundation of China, NSFC) 역시 유사한 정책을 발표했다. 한편, 멕시코의 대통령 Enrique Pena Nieto는 자국의 접근 방식을 설명했다. : 멕시코의 지식정보사회로 나아갈 필요에 대한 신념의 재확인 나는 `과학 기술법(Science and Technology Act)`, `일반 교육법(General Education Act)`, 과학·기술국가위원회(National Council for Science and Technology)의 `유기농법 개정안(Organic Law)`에 서명했다. 이 법안은 공적 자금의 부분적 혹은 완전한 지원을 받은 과학 및 학술 자료를 무료 접근이 가능한 방식으로 멕시코 사람들에게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목표의 지원을 위해, 멕시코는 사회적·문화적인 관심을 받고 있는 고품질의 과학, 기술 및 정보 자원의 혁신과 오픈액세스 국가 리포지터리를 설치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공적 자금의 운용과 정부의 발표들이 연구자들에게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 우리는 지난 몇 년 동안 두 연구 지원금 제공기관인 독일연구재단(the Deutsche Forschungsgemeinschaft, DFG)와 영국의 Wellcome Trust에게 이러한 질문들을 했었다. DFG의 과학도서관서비스 및 정보시스템(Scientific Library services and Information systems)그룹의 프로그램 디렉터이자, Knowledge exchange의 담당인 Johannes Fournier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연구 문헌에의 접근을 개방하는 것은 효율적으로 기존의 지식 기반을 넓히고, 연구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게 된다.' 또, '다른 장점으로는 이러한 정책들을 발표하기 전에 많은 기관들의 논의를 거치는데, 이러한 논의는 커뮤니티의 요구, 관심사 및 문제의 올바른 이해를 하는데 있어 중요하며, 각 국에서 다양한 접근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가능성과 상황을 반영하게 된다.' Wellcome Trust의 디지털 서비스 부문의 헤드인 Robert Kiley는 '우리의 접근 개발은 연구 이용 효과를 극대화한다고 믿고 있다. 결과적으로 오픈액세스가 필요하다.' 또, '많은 Wellcome Trust의 연구자들은 우리의 방식에 대응하고 있으며, 사람들이 이를 준수하지 않는 이유는 문제가 혼합되어 있으며, 때때로 출판자들의 선택이 혼란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우리는 인간과 동물의 건강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는 연구에 모든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구현은 어렵다고 하지만, 오픈액세스는 더 좋은 것을 위한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