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중국,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 현황과 미래 추진 정책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1-07-08 00:00:00.000
내용 중국 하이테크 산업부에서 바이오산업에 대한 고층논단 보고를 하면서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 현황과 미래 추진 정책 내용을 언급한 내용이다.이는 중국 국가개발위원회 제 5 차 중국 바이오산업 대회 고층논단내용에서 보고된 내용이다. 전략적 신흥산업을 빠르게 배양 발전시키는 것이 중국 정부의 중대한 정책전략이다 . 경제사회 발전 중대 수요 , 시장 기초성 작용 처리와 정부 인도 추진 관계 , 총체적인 추진과 중점적으로 확보해야 할 관계 , 현재와 미래를 고려 , 기업 주체 작용 발휘 , 정책적인 전략지원 강화 , 시스템 개혁 심화 , 양호한 환경 경영 , 과학기술성과 산업화 강화 , 전략적 신흥산업등을 빠르게 발전시켜 나갈 당위성을 언급한 내용이다 . 1. 전략적 신흥사업으로 중국 경제 사회 발전에 중요한 전략적 모양새를 갖추도록 한다 . 선진국은 신흥산업 발전 기회를 찾고 있으며 앞 다투어 발 전 전략을 시행하고 있다 . 중국 정부도 혁신적인 국가를 건설하기 위하여 전략적 신흥산업을 필요로 하고 있다 . 중국 발전 중 불평형 , 불조화 , 지속불가능적인 측면이 나타나고 있다 ( 2010 년 중국 에너지 소비는 전세계 에너지 총량의 20%, 시 멘트 , 강철은 50%, 하지만 GDP 는 세계적인 비례추세의 9.5% 를 차지한다 . 석탄 은 에너지 소모 총량의 70% 차지하며 중국은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 이산화유황 배출 최대의 국가로 되었다 . 수질오염 , 공업오염 , 농업오염 , ldquo; 쓰레기로 잠식 rdquo; 등 문제도 독특하다 .) 2. 중국은 전략적 신흥산업 배양 발전에 일정한 기초와 우위가 구비되었다 . (1) 기술혁신 체계 건설을 신속하게 추진 : 제 11 차 5 개년 규획기간 중 과학기술 투입은 년평균 증가율 20% 를 초과하였으며 2010 년 전사회적인 연구개발 투입은 6980 억 위안에 이른다 . 중국은 현재 390 개의 선진 수준의 국가공정센터 , 91 개 국가공정실험실과 220 개 국가중점실험실등 혁신 플랫폼 , 729 개 국가 기업기술 센터를 건설하였다 . 해외유학인재가 귀국하여 창의적인 창업을 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에 기술 기초를 다지고 있다 . 부분적인 신흥산업은 기초적으로 기본적 체계와 내용을 갖추며 작은 부분에서 기술 확보를 하고 있다 . (2) 광활한 시장발전 공간이 구비 미래 일정한 시기에 중국은 공업화 , 성급과 같이 발전하는 정도가 추진되며 산업구조와 성급의 주민소비 구조가 나타나므로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에 광활한 발전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 ( 중국은 재생 에너지가 전부 에너지비중에서 2010 년 8.3%, 2015 년 11.4%, 2020 년 15% 에 도달할 것을 명확히 제안하였으며 미래 10 년 중국은 풍력전기 1.5 억천와트 이상 , 태양 에너지 발전 능력은 2000 만천와트 이상으로 신장할 것이다 .) 3. 중국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에서 특이한 문제점들이 존재 현재의 메커니즘은 전략적 신흥산업 의 빠른 발전의 요구에 부합하지 않는 시스템이다 . - 기업 연구개발 투입 비용 규모가 작고 아직 진정한 과학기술형 혁신의 주체가 되지 못함 - 현재 공업기업 연구개발 지출은 매출 수입의 0.8% 이며 선진국가 의 4% 수준 보다 아주 낮음 - 산학연 밀집 결합의 메커니즘은 형성되지 않으며 과학기술과 경제기술 및 경제의 분리문제 존재 - 중국 과학기술 성과 전환율은 25% 이지만 선진국가는 60% 에 도달 - 부합된 전략적 신흥산업 특징과 요구된 자본 시장이 부조화를 이루고 있음 - 2010 년 중국 창업투자 관리의 자금은 2200 억 위안 2009 년 대비 21% 증가 - 부분 영역 관리 체계 개혁의 정체가 나타나고 있음 - 수평적 분할 관리시스템으로 관 련 계획 , 정 책과 자원의 융합 형성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 - 산업 핵심기술 장악정도는 낮으며 장비 제조업 규모는 크나 대형 장비핵심부품과 기술은 수입에 의존 - 시장은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의 촉진 작용 강화를 기대하지만 시장 배양 능력이 부족하여 중요 정책을 실시하였으나 단순한 지원으로 제고되지 못하고 있음 4. 전략적 신흥산업의 중점 발전 방향 및 목표 (1) 효율적으로 사회경제 발전의 자원 , 환경적인 병목분야를 제어하여 에 너지 절약과 신에너지 산업을 발전 (2) 경제 사회 정보화 추진 , 정보화 및 공업화 용합의 목표를 촉진 , 차 세대 정보기술 산업을 발전 (3 ) 국민 건강 수준을 향상 , 현대농업발전의 목표를 촉진 , 바이오산업 발전 (4) 제조업 핵심경쟁력 향상 , 산업구조 최적화 목표를 촉진 , 고급장비제조 , 신재료와 절약형자동차 산업육성 (5) 2015 년까지 전략적 신흥산업이 건강하게 발전하여 국제적인 분야에서 분명한 향상을 목표 (6) 2020 년까지 취업능력을 제고하여 에너지 절약 환경 보호 , 차 세대 정보 기술 , 바이오 , 첨단장비제조산업이 국민 경제의 지주 산업으로 바꾸고 신재료 및 신에너지 자동차는 국민경제의 선도 산업으로 육성 (7) 2030 년까지 전략적 신흥산업의 혁신 능력과 산업 발전 수준은 세계 선도 수준으로 도달하도록 육성 5. 전략적 신흥산업의 5 항 중점 작업을 발전 1) 중 점 영역 돌파를 실현 ( 전략적 신흥산업 7 개 중점 영역 중 24 개의 중점 발전 방향을 확정 ) 2) 자 주혁신능력을 확보 / 시장 수요확대 / 국제 합작을 심화 / 정책 지원 강화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10205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