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중관촌 과학기술 기초시설과 과학계획 자원 및 정책 연구 ㅁ 출처: 2011-04-02 《中 #20851;村》 ㅁ 원문: http://www.zgc.gov.cn/fzbg/yjkt/70121.htm 중관촌 내 각종 하이테크 기업이 과학기술 혁신 자원을 보다 잘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 본 과제에서는 중국내 과학기술 기초시설과 과학기술 계획을 분석,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에는 국가공정연구센터, 국가공정기술연구센터, 국가공정실험실, 국가중점실험실, 국가실험실, 기업기술센터, 국가중대과학기술 인프라 등 일곱 가지의 과학기술 인프라 플랫폼이 포함되며, 국가과학기술 중대프로젝트, 국가 863계획 프로젝트, 국가 973계획 프로젝트, 국가 지원계획 프로젝트, 국가 하이테크 산업화 프로젝트, 기술혁신 유도프로젝트 등 여섯 가지 국가급 과학기술 프로젝트도 포함된다. 이들 13가지 과학기술 자원에 대해서는 과학기술 자원의 구축 배경과 설립 목표, 관리 모델, 현황 등의 네 가지 각도에서 분석, 서술했다. 이들 중점과학기술 자원을 연구함으로써 중관촌 내 각 기업이 과학기술 자원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중관촌 관리위원회의 과학기술 정책 제정에 참고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ldquo;국가공정연구센터(國家工程 #30740;究中心) rdquo; 발전개혁위원회가 1992년 착공하여 건설한 센터로 같은 해 을 발표했다. 해당 조치는 시장 가치를 지닌 중대 과학 연구성과를 프로젝트화 연구하고 체계적으로 집대성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오늘날 국가공정연구센터는 발전개혁위원회 기술산업사가 책임지고 에 의거해서 관리되고 있다. 2008년 기준, 베이징에 건설된 국가 공정연구센터는 총 38곳(전국의 36.5%)에 달했으며, 주요 내용은 소재, 전자, 제조 등 업계를 아우른다. 중관촌 과학기술 단지 내의 국가 공정연구 센터는 베이징시 전체 수량의 78% 정도를 차지한다. ldquo;국가공정기술연구센터(國家工程技術 #30740;究中心) rdquo; 과학기술부가 1992년 착공, 건설하여 국가 공정기술 연구센터를 설립하였다. 센터의 목적은 과학기술 자원과 경제간의 결합을 위한 새로운 경로를 탐색하여 과학기술 성과가 생산력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허브역할을 하는 것이다. 국가공정기술연구센터는 지점까지 합하여 총 212곳에 달하며 그 가운데 베이징에 51개가 있다. 212곳 가운데 199곳이 여덟 개 기술 분야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그 가운데 농업은 39개, 제조업은 29개, 전자통신은 17개, 소재는 47개, 에너지 및 교통이 19개, 건설 및 환경보호가 16개, 자원개발이 10개, 방직공업 및 의약위생이 22개에 달한다. ldquo;국가공정실험실(國家工程實驗室) rdquo; 발전개혁위원회가 2005년 12월 설립을 추진하기 시작하였는데 그 목적은 산업 전환 촉진, 기업 혁신 능력을 높이는 지원 플랫폼을 형성하는 것이다. 국가공정실험실의 주요 임무는 중점산업의 핵심기술 및 핵심 공정을 시험, 연구하고, 중대장비의 샘플 및 그 핵심 부품을 연구제작하는 것이다. 그 외에도 하이테크 산업화 기술개발, 산업구조 개선 업그레이트의 전략적 기술 연구개발, 산업 기술표준 연구, 공정기술 혁신 인재 육성, 중대 과학기술 성과 응용 촉진, 업계에 기술 서비스 제공 등을 그 임무로 들 수 있다. 2009년 2월 기준, 발전개혁위원회는 총 67개 국가공정실험실의 건설을 허가했으며, 그 중에서 베이징 지역에는 21개(전국의 31.34%)가 위치해 있다. ldquo;국가중점실험실(國家重點實驗室) rdquo; 발전개혁위원회가 1984년 설립하기 시작했다. 중국의 기초연구 수준을 높이고 중국의 기초연구 발전에 적합한 새로운 메커니즘을 탐색하는 데 목표를 두고, 구(舊) 국가계획위원회, 국가과학위원회, 국가교육위원회, 중국과학원 등 부문이 공동으로 국가중점실험실 건설계획을 마련하였다. 2008년 말 기준, 대학교와 과학연구소에 위탁하여 총 220개의 국가중점실험실을 건설하였으며 그 중에서 70개가 베이징에 위치했다. 기업과 연구소에 위탁하여 38개 기업 국가중점실험실을 건설하였는데 그 중에서 16개가 베이징에 위치했다. 베이징 지역의 국가중점실험실은 생명과학, 정보, 화학, 수학, 지구과학, 공정소재 등의 7가지 분야를 아우르는데, 그 중에서도 생명과학, 정보, 지구과학의 3대 분야 비중이 높아 각각 29%, 20%, 20%를 차지했다. ldquo;국가실험실(國家實驗室) rdquo; 과학기술부가 20세기에 설립한 곳으로 목표는 세계 일류의 실험실로 거듭나는 데 있다. 2003년 국가가 청화대학교 정보과학과 기술 국가실험실 등 다섯 개 국가실험실을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 2006년 12월에는 과학기술부는 에서 명시한 중점 임무와 국가 목표에 근거하여 특히 중대 프로젝트와 중대 과학연구 계획을 통해 해양, 항공, 중대질병, 자기단속 핵융합, 청정 에너지, 선진 제조, 현대 농업, 교통, 양자 조절 및 단백질 등 10개 분야의 국가 실험실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2008년 기준, 전국에 국가실험실은 19개가 설립되었는데 그 중에서 8개(42%)가 베이징에 위치했다. ldquo;기업기술센터(企業技術中心) rdquo; ldquo;국가중대과학기술기초시설(國家重大科技基礎設施) rdquo; ldquo;국가과학기술중대프로젝트(國家科技重大專項) rdquo; ldquo;국가하이테크연구발전계획(國家高技術 #30740;究發展計劃) rdquo; ldquo;국가중점기초연구발전계획(973계획)(國家重點基礎 #30740;究發展計劃(973計劃) rdquo; ldquo;국가과학기술지원계획(國家科技支撑計劃) rdquo; ldquo;국가하이테크산업화프로젝트(國家高技術産業化項目) rdquo; ldquo;기술혁신유도프로젝트(技術創新引導工程) rdqu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