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 iPS세포(인공다능성 줄기세포)에 대한 지금까지의 문부과학성의 대처 bull; 연구개발(기초연구 rarr; 전(前)임상연구 rarr;임상연구) -연구자의 자유로운 발상에 근거한 기초연구(과학연구비 보조금) -iPS세포 등의 줄기세포에 특화된 기초연구(JST 전략적 창조연구 추진사업) -발생학ㆍ재생의학의 기초연구기반 구축 -재생의료의 실현화를 목표로 한 연구(재생의료 실현화 프로젝트) -공동이용ㆍ공동연구거점으로서 재생의료의 임상응용을 목표로 한 연구 -산업 창출의 기초가 될 수 있는 기술을 확립(전략적 이노베이션 창출 추진사업) -슈퍼특구:「iPS세포 의료응용 가속화 프로젝트」 -슈퍼특구:「인간 iPS세포를 이용한 신규 in vitro 독성평가계의 구축」 bull; 기반연구 (연구환경체제) -일본 전체의 iPS세포 등 연구의 추진체제 확립(iPS 세포 등 연구 네트워크) -지적재산의 확실한 확보와 지적재산 관리ㆍ활용체제 강화(재생의료의 실현화 프로젝트) -국내외의 신진 연구자 육성, 국제협력 연구활동 지원, 연구자 교류를 시행하는 환경 정비 -줄기세포 이용 연구자의 시야 확대를 위한, 줄기세포 유도기술과 배양기술의 강습회 개최 등 -줄기세포 분야의 세계 최고 수준 연구자를 모아, 유망한 신진 과학자를 포함, 국제적 연구환경 제공(세계 최고 수준 거점) -세포 자원의 보존ㆍ수집ㆍ제공을 시행할 공통 인프라로서, 세포 자원을 제공 (제도) -ES 세포지침 개정 rarr; 새로운 ES 세포 지침 -후생노동성: 안전 기준 등의 검토 및 심사 ○ iPS세포 연구 로드맵의 개요 -iPS세포 수립 이후, iPS세포 등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함과 동시에 iPS세포 등의 연구를 한층 가속화하기 위해, 연구자금의 대폭적인 확충을 도모해 왔다. -많은 액수의 국비 투입에 대해 어떤 성과의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지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기에, 본 로드맵을 책정했다. -연구자는 한층 더 주체성을 가지고, 본 로드맵에서 제시된 목표의 확실한 달성과 그 가속화를 위해 최대한 대처하는 것이 기대된다. ○ 재생의료 실현화 프로젝트(제 2기) bull; 배경ㆍ목적: 세계에서도 유례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고 있는 일본은 척수손상, 심근경색, 당뇨병 등의 난치병ㆍ생활 습관병에 대해 지금까지의 의료를 근본적으로 변혁할 가능성이 있는 재생의료의 실현화를 목표로 함과 동시에, 더욱이 iPS세포 등을 이용한 질환의 원인 해명과 제약에의 응용기반 구축에 의해 환자의 생활의 질과 국민복지의 향상에 기여한다. (문부과학성 iPS 세포 등 연구 네트워크): iP세포의 분배, 지적재산, 연구성과의 취급에 관해서는 공통 규칙(연구 네트워크 규약)에 기초해 일체적 운영(약 30개 기관 참가) ○ 재생의료의 실현화 프로젝트의 향후 대처 bull; 개요 -iPS세포 등의 줄기세포를 국내외의 연구자에게 널리 제공할 기반「iPS세포 은행(가칭)」을 구축해 재생의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줄기세포를 활용한 질환의 병상 해명과 제약 등의 연구를 가속화하고, 의학 전체의 발전에 기여한다. -일본의 iPS세포ㆍES세포 등을 이용한 연구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구축한 iPS세포 기술 플랫폼에서「재생의료의 실현화와 제약 등의 산업응용을 위한 iPS세포 평가계 개발(「세포의 표준화」확충) bull; 과제 -iPS세포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표준화에 더해 규격화와 품질관리를 위한 평가기술개발이 필요 -재생의료의 실현화에는 안전성과 유효성 확인을 위한 중형 이상의 동물과 원숭이 등 영장류 동물을 이용한 전(前)임상연구 실시가 필요 -연구자가 iPS세포 등 줄기세포를 입수해 연구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은행과 같은 iPS세포ㆍES세포 등 줄기세포를 일원 관리ㆍ배포 제공하는 시스템이 필요 bull; 2010년도의 대처: iPS세포 등 전(前)임상연구 가속 프로그램(가칭) - 2009년도 보정에서 설비정비를 시행한 재생의료의 실현화 프로젝트인 iPS세포연구 4거점과 개별연구사업 실시기관이 공동해, iPS세포를 이용한 전(前)임상연구 를 실시할 수 있도록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