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미국, 국제우주정거장(ISS)의 연구목적 사용에 대한 검토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12-23 00:00:00.000
내용 미국 , 국제우주정거장 (ISS) 의 연구목적 사용에 대한 검토 ㅇ GAO( 미 회계감사원 ) 의 연구 목적 국제우주정거장 (ISS: International Space Station) 은 약 25 년간의 작업과 수십억 달러의 지출이 사용된 가운데 2010 년 완료될 예정이다 . NASA( 미 항공우주국 ) 에 따르면 , 2010 년 ISS 승무원들은 ISS 조립에서부터 연구수행에 이르는 활동을 재계획할 수 있을 것이다 . 2005 년 미 의회는 ISS 를 국립연구소로 지정했으며 , NASA 위임법 (Authorization Act, 2008) 에 따라 NASA 는 ISS 국립연구소에 대한 연구관리계획을 제공해야 한다 . 이러한 측면에서 GAO 는 ISS 의 연구목적 사용을 검토하도록 요청받았다 . GAO 는 (1) ISS 의 연구목적 사용 현황 및 완료 후 사용 전망 , (2) ISS 에서의 연구를 최대화하기 위한 과제 , (3) ISS 의 관리에 적용하기 위한 다른 국립연구소의 관리방안 및 대규모 과학프로그램 등을 조사했다 . ㅇ주요 조사결과 ISS 는 2000 년 이후 계속해서 승무원이 배치되었으며 , 현재 6 명의 승무원이 있다 . 2010 년까지 ISS 의 주요 목적은 건설 완료이며 , 따라서 연구목적의 이용은 우선사항이 아니었다 . ISS 에 체류중인 승무원들이 조립업무를 이행하면서 시간과 자원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일부 연구가 수행되고 있지만 , 본격적인 연구는 2010 년에 시작될 예정이다 . NASA 는 자체 연구 ( 인간연구 프로그램 등 ) 를 위해 미국 ISS 연구시설의 약 50% 를 사용할 계획이며 , 미국 국립연구소 연구원들에게 나머지 시설을 개방할 예정이다 . ISS 모든 연구시설의 사용을 최대화하는데 있어 NASA 가 직면한 주요 문제는 다음과 같다 . bull; 2010 년 우주왕복선의 회수 임박과 , 회수 이후 ISS 연구 화물의 수송을 위한 발사 능력의 감소 bull; 발사를 위한 고비용과 , 연구 지원을 위한 전용 자금지원의 부재 bull; 승무원 수의 제한 때문에 연구에 필요한 시간의 부족 bull; 2015 년 이후 ISS 의 불확실한 미래 NASA 는 ISS 국립연구소를 다른 국립연구소와 유사하게 만들기 위해 , ISS 연구를 관리할 관리기구의 개발 가능성을 재조사하고 있다 . ISS 와 직접적으로 유사한 대상은 없지만 , GAO 는 2 개의 국립연구소와 몇몇 대규모 과학연구소에 대한 조사를 통해 , ISS 연구를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3 가지 공통 실행안을 파악했다 . bull; 중앙관리기구 : GAO 가 조사한 각각의 연구소는 자금지원기관은 다르더라도 , 연구의 우선사항 결정 및 선정을 담당하는 중앙기구를 보유하고 있다 . NASA 의 ISS 관리자들은 현재 ISS 에서의 모든 연구에 대한 평가 및 선정을 직접 담당하지 않고 , 연구 후원자에게 맡기고 있다 . bull; 내부적 과학기술 전문기술 : GAO 가 조사한 연구소들은 조직내 다수의 전문가들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기술적 및 엔지니어링 지원을 제공한다 . NASA 의 ISS 기초과학연구 분야의 직원들은 분산되어 있어 , 사용자 지원이 제한적이다 . bull; 적극적인 사용자 서비스 : GAO 가 조사한 연구소들은 사용자 서비스에 높은 우선순위를 두며 , 사용자 교육 및 채용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 NASA 는 공공 / 민간 부문의 잠재적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 비교적 제한적이다 . 목차 - 배경 - ISS 건설 완료 및 연구시설 - ISS 연구시설의 과제 - ISS 관리 - 결론 및 권고사항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90349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