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영국의 하원의원들은 낙태에 대한 좀 더 강력한 통제요구를 거부하지만 인간배아에 대한 연구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을 지원하는 새로운 법안을 허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영국의 저명한 일간지인 지는 109명의 하원의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이들 중 절반 정도는 현재 24주인 낙태 한계를 낮추는 움직임을 거부할 것이라고 말했다. 57명의 의원들이 이러한 변화를 반대했지만 36명이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4명은 결정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낙태문제에 대해서 하원에서 에 대한 두 번째 논의가 진행되면서, 일부 의원들은 낙태 한계를 낮추려고 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야당인 보수당 의원인 나딘 도리스(Nadine Dorries) 의원이 낙태한계시한 20개월을 위한 20가지 이유를 제기하면서 제기되었지만, 22주와 18주, 16주, 그리고 13주의 수정안이 함께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수정안은 이번에 이루어지게 될 두 번째 평가 이후 다음 주에 다시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영국의 하원의원들은 지의 조사에 따르면 유전자 테스트와 동성부모 및 인간배아의 존엄성에 대한 윤리적인 문제로 인해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세 가지 문제에 대해서 찬성 의견을 보이고 있었다. 지난 3월 수상인 고든 브라운은 세 명의 가톨릭 내각 장관들인 폴 머피 (Paul Murphy)와 루스 켈리 (Ruth Kelly) 그리고 데스 브라운(Des Browne)이 이 법안에 대해 반대표를 던질 것이라는 입장을 표명한 후 압력으로 인해 노동당 의원들에 대해 각자의 의견에 따른 자유투표를 하도록 허락한 바 있다. 하지만 이 법안에 대한 두번째 평가를 준비하면서 53명의 노동당 의원들과 37명의 보수당 그리고 17명의 자유민주당 의원과 두 명의 기타 정당의 의원들은 세 가지 법안을 통과시킬 것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세가지 법안은 다음과 같다. - 이종배아 창조: 과학자들은 연구를 위해 99%의 인간 세포핵을 핵이 제거된 소나 토끼의 난자와 결합시키는 연구를 통해 이종배아를 창조하는 연구를 수행하려고 하고 있다. 이에 대해 63명이 찬성하고 있으며 26명이 반대입장을 표명했다. - 동성애 커플에 대한 인공수정: 이 법안은 현재 인공수정을 통해 아기를 갖기 위해서 '아버지가 필요하다'는 문항을 제거하는 수정안으로 56명의 의원들이 찬성을 했으며 26명이 반대했다. - 인공수정을 통한 질병치료를 위한 형제 창조: 유전병을 앓고 있는 사람과 유전적으로 일치하는 형제를 인공수정을 통해 만들어내는 규정의 완화에 대한 법안이다. 이에 대해 56명이 찬성했으며 21명이 반대했다. 많은 하원의원들은 이 논제에 영향을 주려고 하는 가톨릭 주교의 행동에 대해 반감을 보였다. 노동당의 레딩 서부(Reading West) 지역의 의원인 마틴 솔터(Martin Salter)는 부활절에 발표한 스코틀랜드의 가톨릭 주교인 키이스 오브라이언(Keith O'Brien)의 성명에서 이종배아연구를 프랑켄슈타인 창조를 위한 연구와 연관시킨 주장은 너무 공격적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만일 무슬림 성직자가 하원에서 선거행위에 영향을 주려한다면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고 주장했다. 영국 국교인 성공회의 대주교인 로완 윌리엄스(Rowan Williams)는 지난 주말에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 법안의 여러 가지 측면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으며 낙태 한계 시한을 낮추는 방안을 지지했다. 그는 “우리는 강간과 고문 그리고 협박을 비판한다. 우리는 사람의 신체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허가하지 않을 것이며 동의 없는 실험도 반대한다. 나는 임신과 관계 없는 복제연구가 인간 생명에 대한 존엄성을 해친다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일부 하원의원들은 과학자들의 이종배아 창조의 필요성에 대해 회의적이다. 전 보수당 당수였던 이언 던컨 스미스(Ian Duncan Smith)는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연구를 과도하게 강조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는 “나는 학계의 동기에 대해 매우 냉소적이다. 이들에게는 모든 사람들을 공포에 질리도록 하려는 끊임없는 의도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또한 경제적인 이윤을 창조하는 것과 연관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원의 두 야당은 모두 이 문제에 대해 자유투표를 허가할 방침이다. * yesKISTI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