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미국, 07년도 기후 비전 경과 보고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8-02-27 00:00:00.000
내용 미국 에너지부(DOE: U.S. Department of Energy)는 2008년 2월 11일 2007년도 기후 비전 경과 보고서(Climate VISION Progress Report 2007)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산업계에서 2002~2006년 사이에 온실 가스 배출의 감축을 위하여 어떤 조치를 취했는지 소개한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전력 및 에너지의 의존도가 큰 산업 부문에서는 2002~2006년 4년 사이에 전체 온실 가스의 배출 세기가 9.4%포인트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06년에는 동부문 실제 온실 가스의 배출이 전체 1.4%포인트 감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 비전 - 자발적인 혁신 부문 사업: 지금이 기회(Climate VISION-Voluntary Innovative Sector Initiatives: Opportunities Now)'는 지난 2003년 2월 12일 출범한 공공-민간 부문의 제휴 사업이다. 부시 대통령이 수립한 온실 가스의 의존도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출범시킨 것이다. 부시 대통령은 2002~2012년 기간에 대해 18%포인트의 감축을 목표로 설정한 바 있다. 상기 기후 비전 사업은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부문 총 13 곳을 대표하는 경제 단체와 교역 단체, 그리고 주요 기업 최고 경영자 단체(Business Roundtable)로 구성돼 있다. 그리고 이들은 미국의 온실가스 전체 배출의 40~45%를 차지한다. 상기 기후 비전 사업은 부시 행정부의 포괄적 전략들 중에서 주요 전략으로 꼽히고 있으며, 최첨단 기술을 개발, 전 세계에 신속히 배치해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핵 에너지와 재생 에너지, 청정 석탄의 사용을 늘려 온실 가스의 배출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미국 에너지부의 기후 변화 정책/기술 국장인 스티븐 이율(Stephen Eule)이 밝혔다. 그는 또 산업 부문들과의 협력을 통해 에너지 효율에 대한 투자가 어떤 경제적 인센티브를 창출하는지 증명할 수만 있다면, 미국 산업계는 청정 기술과 시책을 활발히 채택할 것이고, 그에 따라 부시 대통령이 2012년까지 온실 가스의 배출을 18%포인트 감축하겠다고 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부언했다. 기후 비전 사업의 각 파트너는 각자의 부문에서 에너지 효율이나 온실 가스의 배출 세기를 개선하겠다고 약속했다. 기후 비전 사업에는 미국 최대의 기업도 일부 참여하고 있으며, 다음의 에너지 집약적 산업 부문을 널리 대표하고 있다: 오일과 가스, 발전(electricity generation), 석탄과 광물의 생산/채굴, 제조업(자동차, 시멘트, 철과 강철, 마그네슘, 알루미늄, 화학제품, 반도체 등), 그리고 산림 제품 등이다. 기후 비전에 참여하는 정부 기관에는 미국 에너지부, 수송부, 농업부, 그리고 미국 환경보호청(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등이 있다. 전력 및 산업 부문이 보고한 배출량 세기의 감소는 미국 경제의 온실 가스 데이터에 전체적으로 반영돼 있다. 최근 발표된 2006년도 온실 가스 배출량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에너지부 산하 에너지 정보 행정기관(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은 2005년~2006년 사이 온실 가스의 세기가 4.2%포인트 하락하여 1990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으며, 2006년도의 실제 배출량은 2005년도 수치에서 1.5%포인트 하락했다고 추정했다. 반면, 동기간에 미국 경제는 2.9%포인트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80042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