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인도, 원자력 안전회의 국가보고서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7-11-15 00:00:00.000
내용 인도 정부는 2005년 3월 31일 핵안전 협약에 가입하고 어떻게 하면 이 협약을 충실하게 이행할 것인지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는 206 페이지로 이루어진 4차 검토회의(review meeting) 내용이다. 인도의 우라늄(Uranium)보존량은 약 95,000톤에 달하며 채굴, 운반 및 가공에서의 유실을 제외한 이용 가능한 순수한 우라늄은 약 61,000톤에 달한다. 이 외에도 인도 해안 지역에는 이용 가능한 토륨(Torium)이 225,000톤에 달한다. 이는 인도의 에너지 정책에 있어서 원료의 공급이 발전 잠재력을 좌우한다. 원자력을 효율적으로 개발 이용하면 장기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으며 현재의 화력발전소(주로 석탄연소)로 공급할 수 없는 전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토륨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electricity generation)할 수 있다. 이를 인식한 인도 정부에서는 원자력 발전소 설립의 모든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인도는 원자력발전에서 장기적이고 대규모 연구 및 발전을 하였다. 1947년의 1.5 GW(Giga watt)의 발전능력으로부터 현재의 132 GW로 발전하였으며 원자력 발전소의 규모도 원래의 220 MWe로부터 현저하게 발전하였다. Tarapur에 있는 두 개의 540 MWe 원자력 발전소는 2000년 부터 준비하였고 2005~2006년 부터 시작하여 운영하였으며 Gujarat 에 있는 Kakrapar에 두 개의 700MWe 원자력 발전소를 설립하였다. 또한,2008년에 러시아와 공동으로 2×1000 MWe의 발전소를 설립할 것이다. 전력 발전(electricity generation)을 포함한 모든 원자력 발전 사항들은 반드시 인도의 원자력 발전법령을 준수하여야 하며 원자력 발전부(Department of Atomic Energy)에서는 원자력발전위원회(Atomic Energy Commission)의 정책에 따라 원자력 발전에 있어서의 모든 연구, 기술발전 및 경제적 운영등 사항들에 관리한다. 원자력 발전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로는 안전성 문제이다. 인도정부에서는 안전성에 관한 법적제도 및 규제정책을 제정하여 방사선 및 원자력발전을 포함한 전체 발전단계에서의 모든 사항들의 안전을 확보하며 원자력 관리 기관(Atomic Energy Regulatory Board)에서 안전표준 및 필요조건 및 감독과 실행 등 모든 안전성 규정을 집행한다. 그 결과 인도에서 매년마다 260개의 핵 반응기와 기타 응용설비들을 안전하게 운영하였다. 이 국가보고서는 협약 4번째 재검토 회의로서 인도정부에서 1996년 10월 24일부터 실행한 협약 조항 5조의 내용에 이어서 협약 조항 6조~19조의 이행 내용으로 인도정부에서의 의무집행 상황을 보고하였다. (2005년 3월 31일에 개최한 원자력 안정성 회의에서 협약국의 첫 재검토 국가보고서를 제출하였다.) 이 국가보고서는 '원자력 안정성 회의에 관한 국가보고서 지침(Guide)'과 일치한다. 목차는 다음과 같다. 서론(괄호안은 페이지) 1장. 개요 (1) 2장. 국가 원자력발전 프로그램 (4) 3장. 결론 (13) 부록 I-1 : 운영중의 핵반응기 (14) 부록 I-2 : 건설중의 핵반응기 (15) 6조 현재의 원자력 장치 (16) 7조 법적제도 및 규제정책 (53) 8조 관리체제 (64) 9조 허가증 소유자의 의무 및 책임 (76) 10조 안전성의 우선권 (81) 11조 재정 및 인력자원 (89) 12조 인력요소 (101) 13조 품질 관리 프로그램 (104) 14조 안전성 평가 및 검증 (112) 15조 방사선 보호 (128) 16조 비상대응 (136) 17조 위치 지정 (siting) (149) 18조 설계 및 건설 (156) 19조 운영(운전) (175)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70233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