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미 에너지부, 정체된 연구비 지원이 과학 프로그램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력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7-01-25 00:00:00.000
내용 에너지부는'DOE Program Impacts Under a One-Year Continuing Resolution (CR).'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정체된 연구비 지원이 2007년 9월 30일까지 에너지 부 프로그램에 미칠 영향을 전망하였다. 이에 따르면, 파쇄 중성자 자원(Spallation Neutron Source)과 같은 시설은 2007년에 운영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결과, 고 에너지 물리학 프로그램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상대적 중이온 충돌 가속기 가동이 국내와 국제적 연구에서 50%가 감소되고 중요 스탭진도 해고될 것으로 예상된다. 2007 회계연도에 정체된 연구비 지원이 과학 세출 예산에 미칠 영향을 결정함에 있어 에너지부는 다음과 같은 가정을 세웠다. - 에너지부에 대한 지출 한계를 2006년 세출 예산 레벨로 법제화하고 이것은 한 차례 정부 규모에서 1% 폐지만큼 감소된 것이다. -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들지 않음 - 2007년 예산 책정 분담이 없음(2007년 책정 분담은 2006 년 회계 연도의 국회 요구를 넘어서지 않음) 과학 세출 예산이 각 분야에서 미칠 영향은 다음과 같다. 참여할 연구자와 학생들을 위한 기초 에너지 과학 규모의 전체적 감소는 2006년에 비해 295에서 32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14억 달러 규모의 파쇄 중성자 자원의 새로운 가속기를 기반으로 한 시설은 2007년도에 전혀 가동되지 않을 것이다. 기초 에너지 과학 프로그램은 현재의 연구자들, 학생과 제안된 신임 고용자들로 구성된 850에서 1,000 명의 스탭들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바이오 에너지 개발, 특히 수소와 에탄놀 에너지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 개발을 위한 바이오 에너지 연구 센터를 위한 계획은 취소될 것이고 바이오 에너지 생산을 향상시키기 위한 바이오 메스나 미생물을 생성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위한 지원은 삭감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실험용 핵융합 반응기 디자인과 건설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international project to design and build an experimental fusion reactor ) 지원을 위한 예산은 2천 9백 3십만 달러로 한정되고, 이는 50에서 75명의 고용인을 감소시켜야 하는 결과를 나을 것이다. 또한 핵융합 에너지 관련 프로그램도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2006년 수준의 예산은 고용인들을 1개월 정도 일시적으로 해고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게 할 것이고, 국제 연구와 개발 프로그램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일들은 숙련된 기술자 스텝진의 손실로 이어지고 회복하기 위해서는 몇 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핵물리학 프로그램에서 과학 연구자들의 감소가 전망되고 있다. 프로그램과 프로젝트에서의 지연은 미국 연구 사회와 이 분야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많은 국제 연구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1년 연속적 해결안에서 에너지부의 프로그램 영향 핵심적 영향 -과학 세출 예산 -에너지 공급과 저장 예산 -에너지 시장 운영 -에너지부의 운영 -국가 핵 안전과 운영/무기 활동 세출 예산 -국가 핵 안전과 운영 사무소 행정 세출 예산 장기적으로 지원이 보장 받은 프로그램 보고서의 원문 요약은 다음을 참조: DOE Program Impacts Under a One-Year Continuing Resolution http://www.fnal.gov/pub/today/CR-Impacts-DOE.pdf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70015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