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제3기 지적재산전략 기본방침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04-09 00:00:00.000
내용 제3기 지적재산 전략 기본방침(안) 1. 이노베이션 촉진을 위한 지적재산 전략 강화(IP For Innovation) ( 평가지표) -일본 전체의 연구개발 투자액 -제도 ∙운용 검토에 관한 출원 ∙등록건수 -특허심사 대기 기간 -산업혁신 기구(이노베이션 창조기구) 활동상화 -대학의 산학연대 활동에 의한 전 수입(특허권 실시료, 저작권 사용료, 공동연구비, 수탁연구비 포함) -대학의 연구성과를 활용한 사업화 건수 ∙사례 -내국인 출원건수를 포함한 중소기업 비율 -지역의 신사업 전개 사례 ( 주요시책) ○기술혁신, 시장변화에 적절히 대응한 지적재산 제도 구축 -특허제도 종합적 검토 -첨단 의료분야의 특허보호 검토 -권리제한의 일반 규정(일본판 페어유스 규정) 도입 -사용하지 않는 상표 대책 강화 -특허심사처리 신속화 ○대학, 중소기업의 지적재산의 종합 프로듀스 기능 강화 -산업혁신 기구(이노베이션 창조 기구) 체제 정비 -대학의 지적재산 본부, 기술이전담조직(TLO:Technology License Office)의 통폐합 ∙전문화에 의한 기능 강화 -산학 연대로 외부 기능 적극적 활용 촉진 -중소기업 시책, 농림수산시책, 과학기술시책 등과의 연대 강화 -지역금융기관의 지적재산 활용 촉진 ○이노베이션 창출에 이바지하는 지적재산 인재 육성 -연구개발전략 ∙지적재산 전략 ∙사업전략의 삼위일체화의 인재 육성 -지적재산 교육 충실 ○오픈 이노베이션 진전에 대응한 환경 정비 -적절한 권리행사 검토 -미등록의 통상실시권 보호제도(당연보호제도) 검토 -실시허락 의사 등록제도 도입 검토 -영업비밀 침해의 억지력(抑止力)을 높이기 위한 법제도 정비 2. 글로벌한 지적재산 전략 강화(Global IP) ( 평가지표) -특허 해외 출원 비율 -특허심사 하이웨이 이용건수, 대상국 수,이용자 만족도(앙케이트 조사) -일본 기업의 모방품 ∙해적판 유통에 의한 피해율(앙케이트 조사) -국제표준화 기관에 의한 의장, 간사 등 자리 획득수 -대학의 해외 유래 연구비율 ( 중점시책) ○세계 지적재산 시스템 구축을 위한 대책 강화 -세계 특허시스템 구축을 위한 대책 강화 -고수준의 지적재산 외교 추진 -아시아 국가에 대한 지적재산 인재 육성에 대한 지원 추진 ○해외의 모방품 ∙해적판에 의한 피해를 감소하기 위한 대책 강화 -해외시장의 모방품 ∙해적판 대책 강화, 일본내의 모방품 ∙해적판 단속 강화 ○해외전개, 해외 리소스 활용 촉진 -해외 지적재산 관련 정보 제공 강화, -중소기업의 해외 사업전개에 대한 지원책 확충 -대학의 국제적인 산학관 연대 활동 체제 정비 ○국제표준화 활동 강화 -표준기술을 원만히 실시 가능하게 하는 방책 검토 3. 소프트 파워 산업의 성장전략 추진(Promotion of Soft Power Industries) ( 평가지표) -콘텐츠, 음식, 패션 산업 규모 -콘텐츠 산업의 해외 의존도 -영화, 음악 등 각 분야의 시장에 차지하는 일본내 작품 비율 -집중 관리단체가 관리하는 위임자수, 위임범위 내용 -콘텐츠 관련 정보에 관한 데이터베이스 정비, 엑세스 수 -인터넷상 저작권 침해사범에 관한 검거사건수, 검거인원 -방일 외국인 여행자수, 대일 여론조사 ( 중점시책) ○새로운 창조, 신규 서비스 창출에 대한 지원 -소프트파워 산업의 중소기업 지원책 활용 촉진 -지역 소프트자원의 영상화를 통한 지역의 소프트파워 산업 육성 -새로운 미디어를 활용한 신규 서비스 창출 촉진 ○소프트파워 산업의 해외전개 촉진 -콘텐츠 해외 전개 촉진, 일본 브랜드 발신 이벤트 기능강화, 해외 전개 미션 파견, 콘텐츠 규제 등에 관한 외국정부의 대처 강화 ○일본 브랜드 발신력 강화 -대외 발신 중점화, 재외공관의 지원기능 강화 ○크리에이터 창작환경 충실과 육성 -젊은 크리에이터 육성, 문화 자원 자료수집 추진 ○인터넷상 저작권 침해 콘텐츠 대책 강화 -해외시장의 모방품 ∙해적판 대책 강화, 인터넷상 저작권 침해 콘텐츠 대책 강화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의 지적재산 정비 -권리제한의 일반 규정(일본판 페어유스 규정)도입, 저작권법상의 '간접침해' 명확화, 디지털 콘텐츠 유통 촉진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의 발전을 위한 콘텐츠 거래 지원시스템 구축 -크리에이터 대가 환원을 위한 환경 정비 ○브랜드력 향상을 위한 대책을 촉진하는 지적재산 제도 구축 -농림수산품에 대한 지리적 표시제도 도입, 이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한 상표제도 검토,디자인 창작활동을 촉진하는 의장제도 조사 ∙연구 4. 지적재산권의 안정성 ∙예견성 확보(Stable IP) ( 평가지표) -특허청의 심사 질과 특허권 안정성 ∙예견성에 관한 이용자 만족도(앙케이트 조사) ( 중점시책) -무효판단 원인 분석 -특허심사 결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방책 검토 -국내외의 특허문헌과 비특허 문헌의 연결된 검색환경 정비 -특허 유효성 판단에 관한 분쟁처리 검토, 저작권법상의 '간접침해' 명확화, 의장 권리범위 명확화, 심사기준 책정 과정 투명화 5. 이용자 니즈에 대응한 지적재산 시스템 구축(User-Friendliness) ( 평가지표) -지적재산 시스템 전체에 관한 이용자 만족도(앙케이트 조사) ( 중점시책) ○행정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대책 강화, 저작권 등록제도 운용개선, 심사기준 명확화, 중소기업에 대한 특허수수료 감면제도 검토, 출원인의 니즈에 따른 심사처리 구축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90099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