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1. 검토상황 일본은 우주 및 해양에 관한 종합적 , 일체적인 시책이 추진됨과 동시에 , 연구개발성과의 적극적 사회환원이 지금까지보다 더 요구되고 있다 . 이러한 상황에 입각하여 본 분야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검토해야 할 사항을 의논한 결과 , 아래 사항에 대해 프런티어 PT 로서 기술적인 견지에서 의견을 정리하기로 하였다 . 【 1 】사용자가 본 위성이용활용상의 기술과제 【 2 】자원개발 관점에서 본 해양지구관점탐사시스템의 기술과제 【 3 】기술인재 육성관점 ( 프런티어분야의 특유사항 ) 2. 중간 후속조치에서 나온 주요의견 lt;우주분야 gt; (1) 위성 시스템설계 ① 이용 우선순위 명확화 - 일본에서 개발된 연구개발위성은 고기능화 , 고성능화를 꾀하고 , 새로운 이활용 창출 , 정착을 꾀하는 다목적 이용실증이 필요하다 . 중장기적으로는 설계단계에서 이용에 관한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고 센서 성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위성시스템을 설계하는 것도 필요하고 , 이용자 편이를 고려한 설계를 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 ② 공통 버스의 계속적 이용 - 컨셉이 확실한 10 년 이상 사용할 수 있는 위성공통 버스가 필요하다 . - 대응성 높은 위성 개발 수법이 요구되고 있다 . ③ 기술개발의 계속성 - 해외에서는 사용자에게 계속적인 지구관측환경을 제공하고 있어 일본 위성개발 방침검토에서 이러한 점도 배려해야 한다 . ④ 궤도상 운용형태의 유연성 향상 ⑤ 민생부품의 궤도상 실증 - 국제경쟁력 확보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해 궤도상 실증위성을 정기적으로 발살하여 그 성과를 보급할 필요가 있다 . (2) 센서개발 ①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합성개구레이더 ) 및 광학센서 - SAR 이용에 관한 우선순위를 명확화한 다음 해외와의 상호보완도 고려하여 전략적으로 주파수를 선택해 갈 필요가 있다 . - 광학센서는 해상도의 향상이 필요하며 , 위성화상데이터 이용 , 분포에 관한 보안도 체제면 , 기술면 쌍방의 관점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 - 가시 근적외영역부터 단파장 적외영역에 이르기까지 관측 가능한 스펙톨 센서 개발이 기대된다 . ② 그 외 관측 센서 - 지구환경변화 모니터링과 예측 및 기상관측 등 분야에서 마이크로파 방사계 , 마이크로파 산란계 , 레이더 해면고도계 등 다양한 센서에 대한 수요가 있다 . (3) 위성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기술 ① 관측 데이터의 실시간성 확보와 대용량 데이터전송기술 확립 - 관측센서 데이터는 데이터 중계위성의 후계기와 지상네트워크를 포함하여 다운링 회선으로 위성운용에 제약이 생기지 않도록 대처할 필요가 있다 . (4) 운용체제 ① 지구관측위성의 최적배치와 국제협조도 포함한 시간분해능 향상 - 목적에 맞춰 조합을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 - 일본은 일본이 발사한 위성과 해외위성의 궤도상 배치의 균형도 고려하면서 데이터 포멧의 세계 표준화 등의 기술과제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② 화상처리기술 향상 및 정보축적기반과 데이터 핸드링 시스템 정비 - 데이터 압축파일을 수요가 많은 데이터를 우선시하며 조속히 구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한다 . - 화상처리 기술향상과 응용개발 , 데이터 동화수법 개발 등이 필요하다 . - 위성화상 , 표고 데이터 등을 지리정보시스템 상의 다른 관측데이터와 사회경제정보 등과 중복 , 융화함으로 새로운 가치창출이 기대된다 . - 데이터 융합 , 해석 시스템에 대해서도 사용자 수요의 다양화에 대응하여 새로운 가치창출을 유도하도록 정비를 가속할 필요가 있다 . - 고차처리를 손쉽게 할 수 있는 정비가 필요하다 . (5) 위성이용과 지상기술과의 융합 ① 기존 지상설비 등을 활용한 위성이용기술 보완 - 위성뿐만 아니라 기존 설비 , 기술과 병행하여 위성이용의 정밀도를 향상 , 보완하는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 - 고속 이동체용으로 위성 측위와 IMU( 관성계측장치 ) 복합측위 방식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