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 ICT 분야에서의 지금까지의 과제 ○ 개별 대응이 중심 - 지금까지의 ICT 분야에서의 대응은, 연구 개발, 실증 실험, 실용화·서비스화, 글로벌 전개라고 하는 각각의 단계별 대응이나 추진 방책이 검토되어 오거나, 인프라 정비, 단말·기기의 개발, 애플리케이션·컨텐츠 개발 등이 개별적으로 추진 - 또, 통신 방식 등의 표준화가 중요해져 기술의 표준화 활동이 활발히 실시되고 있지만, 국제 표준을 획득해도 시장 점유율 획득으로 연결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 ○ '글로벌 시점'의 결여 - 글로벌을 응시한 연구 개발의 초기 단계로부터의 검토가 부족하고, 또, 연구 개발 된 후에도 사업화까지의 여러 단계에서 글로벌인 시점이 결여되는 등 글로벌 전략의 검토가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음 ○ 새로운 플레이어가 참여하기 어려운 환경 - 연구 개발이나 실증 실험 등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진 플레이어가 참여하기 어려운 환경이 있는 것도 ICT 분야의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 ○ 상품 주도에서 서비스 주도로 전환 - 지금까지는 ICT의 기술이나 제품은 공급 측면에서 어떻게 제공해 나갈 지에 대한 인식이 주류로, ICT의 기술이나 제품, 시스템을 이용하는 이용자 시점은 사업화 과정에서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음 - 그렇지만, 최근에는 서비스가 가치의 원천으로, ICT의 서비스와 고객측·이용자측이 공동으로 창출해 간다는 발상의 전환이 요구 □ 종래의 수법과는 다른 새로운 전략의 필요성 ○ 획기적인 환경 정비 - ICT 전개 체제에 의해, 이노베이션 창출을 위해 목표로 해야 할 목표를 명확화 - 이용자나 생활자에게 지지를 받는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이 창출되는 환경을 구축 - 사람이나 정보가 집적해, 새로운 플레이어가 새로운 아이디어를 신속하게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 ○ 새로운 연구 개발 수법 - 여러 가지 주체간의 경쟁으로 이노베이션이 창출되는 체제를 구축 - 연구 개발과 이를 사회에 안착시켜 가기 위한 대응을 한층 강화 - 연구 개발 초기 단계부터 글로벌 전개를 의식한 시점을 강화 □ 'Active Japan ICT' 실현을 위한 목표(2020년) 및 구체적인 방향 ○ 액티브하고 쾌적한 생활 - ICT 활용에 의해 고령자의 노동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등 모든 세대가 액티브하게 사회 참여를 할 수 있는 ICT 활용 환경을 실현 ○ 리치 컨텐츠의 영위 - 다종 다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전송·해석 등의 활용을 통해 과제 해결로 연결하고, 수십조 엔의 데이터 활용 시장을 창출 ○ 빅데이터 활용에 의한 사회·경제성장 - 언제 어디서나 누구라도 좋아하는 단말기로 리치 컨텐츠/애플리케이션을 향유할 수 있는 차세대 TV의 글로벌 플랫폼의 실현 ○ 견고·유연한 ICT 인프라의 구축 - 재해 시에도 복구하기 쉬운 견고·고성능의 중층적 브로드밴드의 전개에 의한 유무선 일체의 세계 최첨단의 브로드밴드 환경의 실현 ○ 세계 최고 수준의 보안 실현 - 새로운 기술·서비스에 적응해, 사이버 공격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 세계 최고 수준의 사이버 보안 환경을 실현 [목차] 1. 검토의 배경·경위 2. 현상 인식 3. 향후의 ICT 정책의 기본이념 4. 새로운 ICT 종합 전략의 방향성 5. 정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