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세계의 차세대 서비스 로봇 R D 체제와 눈에 띠는 정보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7-12-05 00:00:00.000
내용 본 NEDO 보고서는 로봇에 관한 미국 및 유럽 , 아시아 각국의 정책과 과학기술 자금 펀드에 중점을 두어 각국의 관계자가 기재한 정보를 기초로 정리하고 있다 . 1. 일본 일 경제산업성의 신경제성장전략 안에도 로봇 항목이 있으며 , 2004 년부터는 각 부처의 시책을 제휴할 수 있도록 내각부의 관할 하에 마련된 14 가지 테마의 과학기술 제휴 시책군에도 「차세대 로봇」을 다루고 있다 . 경제산업성과 NEDO 의 경우 , 「중장기 하이리스크 연구개발사업」이라는 구분에 속하는 프로젝트로 , 로봇은 기술로드맵에 따라 실용화 , 사업화 지향하고 있다 . 2007 년도는 (1) 공통기반 개발 , (2) 인간 지원형 실용화 , (3) 요소기술 개발 , (4) 로봇 지능화 기술 ( 신규 ) 의 4 테마를 실시하고 있고 실행예산의 총액은 약 41 억 엔이다 ((1), (2) 는 2007 년도 종료 , (4) 는 현재는 경제산업성이 집행하고 NEDO 가 지원하는 체제 ) 2. 미국 미 방위고등연구계획국 (DARPA; Defenc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은 국방총성의 소속기관이지만 , 국립과학재단 (NSF: National Science Foundation) 과 항공우주국 (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은 연방정부 내의 독립기관이다 . 모두 로봇의 테마를 다루고 있는데 , DARPA 는 군사 , NASA 는 우주항공 관련에 특화하고 있다 . NSF 는 특별히 서비스 로봇에 특화된 프로젝트는 없지만 , NSF 내 CISE(Computer Information Science Engineering) 부국의 IIS(Information Intelligent Systems) 부서와 관련이 깊다 . 예를 들어 NASA 는 우주비행사의 긴급 수술용 원격 조정 수술 로봇의 개발이나 , RoboCup 대회를 지원하고 있다 . DARPA 도 노상에서 자율 이동차의 주행을 겨루는 DARPA Urban Challenge 를 실시하고 있다 . 인간형 인명 구조 로봇 Bear(Vecna 사 )[Vecna 2007] 는 전장에서 부상병의 구조나 폭발물 처리를 목표로 하고 있고 , 현재의 이동은 차륜이지만 트럭 벨트 구동의 관절이 있는 다리로 된 것도 시작 ( 試作 ) 중이라고 한다 . 세계 각국의 로봇 사정을 면밀하게 조사한 방대한 리포트인 [WTEC 2006] 에 의하면 , 각국의 진행상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 미국: 옥외 네비게이션 , 아키텍처 , 우주 / 방위 / 수중 시스템용 , 서비스 개인용 로봇 . - 일본과 한국: 이동 로봇 , 휴머노이드 , 퍼스널 로봇 . - 유럽: 옥외를 포함한 구조 환경에서의 이동 로봇과 고령자 지원 및 홈 서비스 로봇 . - 호주: 짐 운반이나 채광 등의 옥외 상용 로봇 . 또한 미국에 비해 한국과 일본은 국가 전략 주도 , 유럽은 EC 전체 프로그램 등으로 운용 . 3. 유럽 (1) 유럽연합 (EU) EU 의 행정 집행기관인 유럽위원회 (EC; European Commission) 는 연구개발의 펀드로서 연구개발 프레임워크 계획 (FP; Framework Program) 을 실시하고 있다 . 여기에 몇 가지 로봇 프로젝트가 채택되어 있고 , 2007 년 초 , 프레임워크 계획 내의 아이디어 (Ideas) 프로그램을 토대로 유럽 연구평의회 (ERC) 를 개시했다 . EURON[Christensen 2005]( 로봇의 연구 , 보급 , 교육 등에 관한 커뮤니티 ), CLAWAR[Verk 2005]( 차륜과 다리에 의한 이동 , 언덕길 등판 로봇 팀의 모임 ), COMET[Olleso 2005]( 환경조사 , 재해구조 등을 위한 헬리콥터나 비행선 등의 자율 비행체 프로젝트 ) 등에 다수의 유럽 제국이 참가해 프레임워크 계획으로 행해지고 있다 . (2) 영국 영국은 의료용을 제외한 산업용 로봇 등은 전체적으로는 약해 , 의료 지원용 소프트가 활발한 마케팅을 보이고 있다 . Dr.Pegman(IARP/ 영국 대표 , RURobots) 에 기재된 여러 코멘트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 - 공업용 로봇의 작년의 출하액은 유럽 , 특히 독일과 비교해 저조 . 이는 자동차 이외 산업에의 수요 확대가 적기 때문 . - 로봇 R D 에의 펀딩은 학술과 상용 모두 증가 . 영국 내에서는 아직 로봇 연구의 전체적 협조나 융합은 적음 . 로봇 연구로 관심을 갖는 분야는 군사 , 국토 방위 , 의료 , 식품 등 . - 방위 관련의 R D 는 UK “ Grand Challenge ”로 , 이는 시가지에서의 위협에 대해 사람을 안전하게 지키는 로봇 시스템과 같은 의미 . 신세대 폭발물 처리 로봇의 개발과 제조는 계속함 . - 식품 산업의 로봇 R D 는 Center for Food Robotics and Automation 이 식품 산업용 프로토 타입 로봇 개발에 펀딩하고 있음 . - 학술적 연구의 펀딩은 수중의 위치 측정이나 지도 작성 등도 있지만 인지 , 바이오 관련 등으로 향하고 있음 . (3) 스페인 Dr.E.Garcia(Spanish National Research Council, Spain) 의 설명에 의하면 서비스 로봇 보급에 관한 목표의 연차 설정은 없으며 , 펀드를 받고 있는 로봇 프로젝트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 DYLEMA( 보행로봇에 의한 지뢰 검출 ) 펀드: 교육과학성 매니지먼트: 스페인 국립연구회의 교육과학성 - ROBOCLIMBER SAFERDRILL( 등행 로봇에 의한 경사면 고정 ) 펀드: EC 매니지먼트: 상동 - DIAM( 건설산업용 지적 지원 장치 ) 펀드: 교육과학성 매니지먼트: 상동 - ROBOCITY 2030( 시가지의 시민 지원용 서비스 로봇 ) 펀드: 마드리드 국립회의 매니지먼트: 상동 (4) 포르투갈 Prof.P.U.Lima(Instituto Superior Technico, Portgal) 의 설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 내셔널 레벨의 로봇 프로젝트나 펀딩은 없지만 , Portguese Fund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에 의한 연차 모집에서 컴퓨터공학이나 로보틱스에 관한 지정 분야 내에 로보틱스에 관한 기초 연구는 펀딩을 받을 수 있다 . - 로드맵에서 고려하고 있는 주요 로봇으로는 차세대 산업 로봇 , 적응형 로봇 도우미 ( servant) , 네트워크 로보틱스와 지적 로봇 홈 , 개호 및 생활 지원 , 수송 로봇 , 안전과 감시 시스템 , 교육 지원 등이 있다 . 4. 아시아 (1) 중국 중국의 공업용 로봇의 연구개발은 「 75 국가 프로젝트」에 의해 중앙 각 부처 , 중국과학원 , 지방의 과학연구기구 및 대학이 참가하여 전면적으로 실시되었다 . 그 결과 , 90 년대에 용접용 로봇이 실용화되었고 , 현재 전국에서 약 700 대의 국산 용접용 로봇이 사용되고 있다 . 2000 년 , 로봇의 보유량은 3,500 대가 되었지만 그 중 국산 로봇은 20% 에 지나지 않고 , 나머지는 일본을 비롯한 해외의 것이다 . 로봇 보유량에 대해서는 2010 년에 17,300 대 , 2015 년에 십 수 만대라고 전망하고 있다 . 국가 863 프로젝트 중에서 차세대 로봇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1986 년 3 월에 개시 , 5 년마다 재검토 , 현재에도 계속 중 ). 구체적으로는 검을 휘두르는 인간형 로봇 , 잠수 로봇 (7,000m 까지 ), 물고기 로봇 , 경찰 로봇 ( 크롤러 이동 ), 수술 로봇 등을 연구개발하고 있다고 한다 . (2) 인도 로봇에 관한 연구는 교육기관 , 국립연구소 , 원자력국 등에서 행해지고 있는데 , 특히 IIT(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Kanpur, IIT Delhi, IIT Bonbay, IIT Kharagpur, II of Science 등에는 로봇 연구 환경을 갖추고 있다 . The Center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ics 는 인도 최대의 국립연구소로 , 로보틱스나 AI( 인공지능 ) 의 연구를 하고 있다 . 다만 , 대부분은 시뮬레이션 , 컨트롤러 설계 , 경로 계획 , 최적화 등에 한정되어 있고 하드웨어 개발의 직접적인 종사는 없다 . 로봇 분야의 연구는 인도 정부의 과학기술성이나 기업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데 , 로봇 연구자 수는 적고 (100 명 정도 ), 교부액도 많지 않다 ( 예를 들면 , 각 테마당 300 만 루피 정도 ). 5. 국제 표준화 로봇 기술용 미들웨어는 산업기술종합연구소 , 로봇공업회 등 관계자의 노력과 NEDO 의 지원으로 일본이 국제 표준을 주도하고 있고 , 2008 년 2 월에 OMGRTC (Object Management Group, Robotic Technology Component) Specification 1.0 으로서 정식 릴리스가 결정되었다 [ 요코쵸 ( #27178; 町 ) 2007].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70249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