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하이테크산업, 농업과학기술, 민생과학기술 등 최근 중국의 과학기술계는 국가발전의 수요를 중점으로 각 분야의 자원을 혁신적으로 발전시키고 경제사회발전의 중요한 과학기술문제를 해결하여 국민경제의 빠르고 안정적인 발전과 민생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적 지원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다음은 각 산업별 발전현황이다. 1. 하이테크산업 하이테크산업이 한층 더 발전하고 산업구조조정의 부대효과가 더욱 가시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국가의 하이테크산업단지는 현재 중국 하이테크산업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기지로 자리잡고 있다. (도표 1 참고) 도표 1. 2008년 기준 54개 국가하이테크단지 금액 비고 영업총수입 6조 5천억 위안(한화 1202조 원) 전년대비 18.6% 증가 공업부가가치 1조 2천 7백억 위안(한화 235조 원) 전국 공업부가가치의 8.8% 수출로 인한 수입 1,957 억 위안(한화 36조 2,142억 원) 중국 전체 수출 수입의 14% 하이테크단지의 발전과 국가 정책의 지원으로 민생과 관련한 중요분야에서 하이테크산업화가 심도 있고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TD-SCDMA 네트워크응용과 구축은 이미 8개 대도시에서 산업화되어 응용단계에 들어섰다. 또한, 자연재해와 국제금융위기라는 악조건에서도 중국의 하이테크산업은 안정적인 성장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하이테크기업과 과학기술형 중소기업은 중요한 역할을 발휘하여 국민경제발전에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다. (도표 2 참고) 도표 2. 2008년 기준 하이테크산업 규모 비고 산업총가치 5조 8천억 위안(한화 1,073조원) 전년대비 14.1% 성장 부가가치 1조 3천 2백억 위안(한화 244조 2천억 원) 전년대비 14% 성장 2. 신에너지 신에너지의 개발과 응용 역시 장족의 발전을 거둬 1MW와 2MW간 이중변속 정주파제어 풍력기시스템기기의 설계기술이 초기적인 성공을 거두어 국내에서는 약 400대의 주문이 예약되어있고 10가지 기술은 풍력에너지산업의 발전에 초석이 되었다. 3. 이동통신 이동통신이나 매스미디어 기술의 연구와 응용도 순조롭게 진행되어 신흥산업으로서 시장잠재력이 풍부하다. 4. 산업기술 산업 관련 핵심기술이 전통산업의 경쟁력을 빠른 속도로 제고시키고 있다. 하이브리드를 중심으로 하는 신에너지차량은 이미 산업화의 조건을 갖추었으며 하이브리드카가 정식으로 시장에 출시되어 중국의 신에너지자동차가 새로운 발전단계에 들어섰음을 보여주었다. 중국 최초의 특고압실험시범프로젝트가 정식 가동되면서 중국의 특고압공정설계, 건설, 운영, 설비제조 등이 세계 선진 수준에 달했음을 증명하였고 수많은 순환식 철강프로세스기술혁신은 철강기업이 에너지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생산비용을 줄이는데 큰 기술적 뒷받침을 제공하였다. 대형선박제조기술은 물론 시멘트, 유리 도자기 등 건축재료의 친환경제조기술도 큰 성과를 거두어 중국의 건설업이 전체적인 발전을 이룩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5. 농업과학기술 농업과학기술은 현대농업발전과 신농촌건설에 매우 중요한 주춧돌 역할을 하였다. 식량생산과학기술공정이 전면 가동되어 12개의 주요 농업지역에 핵심실험단지, 기술시범단지, 서브단지 등을 구축하였고 각 묘(중국의 농지단위, 1묘=666m²)당 농산품 생산량이 평균 54.3kg 증가했으며, 실험단지의 생산량 증가비율은 전국평균증가율보다 4.6배가 더 높게 나타났다. 가공식품, 농업기기, 병충해방지, 우성종배양 등 농업의 핵심기술이 지속적인 개발과 보급에 성공하고 있다. 과학기술특파원이나 농업전문가 등을 파견하여 전국에 과학기술특파원은 6만 명에 달한다. 다원화된 농업과학기술서비스시스템이 발전하고 있다. 과학기술로 농민을 부유하게 하는 전문프로젝트와 농업과학기술의 농촌정착 등 여러 프로젝트가 현재 진행 중에 있다. 6. 민생과학기술 이 밖에 조화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기술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잇다. 중대질병, 전염병에 대한 예방과 치료기술이 보급되었고, 자동차 오염이나 식수안전확보, 지역생활쓰레기 처리 등의 생활에 쓰이는 과학기술 R D가 활발히 이루어져 거주환경이 개선되었다. 뿐만 아니라 사회안전, 식품안전 등의 분야에서도 민생과 관련한 중대 과학기술이 개발되고 응용되어 공공안전기술이 확립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