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미국, 재해 회복력과 비정부 부문 - 정책 아젠다를 위한 컨퍼런스 권고사항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1-03-24 00:00:00.000
내용 미국 , 재해 회복력과 비정부 부문 ndash; 정책 아젠다를 위한 컨퍼런스 권고사항 최근 재해 대응과 회복에 있어 비정부 기구 (NGO) 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인식이 늘어나고 있으며 국가적 전략과 지침도 이를 반영하고 있다 . 이는 특히 공동체의 재해 회복력 건설의 주춧돌로써 NGO 의 공식적 참여 움직임이 거세지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 공동체 회복력 , 즉 공동체가 경기 침체 , 유행성 인플루엔자 , 인재 , 자연 재해 등과 같은 역경을 견디고 이로부터 회복하는 지속적 능력은 중요한 정책적 사안이 되었으며 이런 경향은 지난 몇 해 동안 더욱 강해졌다 . 허리케인 카타리나 , 아이티 대지진 , 멕시코만 기름 유출에 대한 대응에서 잘 나타난 것과 같이 공동체 회복력을 강화하는데 있어 NGO 의 통합적 역할에 대한 인식은 항상 있어 왔지만 재해 회복 과정에서의 NGO 를 이해 , 정의하고 전략적으로 관여시키기 위해서는 이제 NGO 의 역할을 훨씬 더 크게 강조할 필요가 있다 . 앞선 재해들로 인해 NGO 가 재해 기간 동안 , 그리고 재해가 일어난 이후 정보를 제공하고 의료와 고용 프로그램을 포함해 직접적 서비스 제공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 공동체 구성원들을 재정적 서비스와 연결하는 정부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하지만 NGO 의 역할과 책임으로써 고려해야 할 두 개의 환경적 요소 역시 국가적 원칙에 공식적으로 통합되어야 한다 . 첫째 , 공동체에 나타나는 각각의 위험과 이에 대응하고 회복하기 위해 공동체가 필요로 하는 것들을 고려하는 위험도 (risk) 라는 측면에서 모든 재해가 동일하지 않다는 점이다 . 같은 시기에 기술적 문제를 포함한 인재와 씨름하고 있는 공동체 , 그리고 자연 재해와 싸우고 있는 공동체가 있다면 이 두 공동체는 각기 다른 자원을 필요로 하고 회복에 대한 기대 역시 서로 다를 것이다 . 둘째 , 재해 회복 기간은 별개의 것이 아니며 전형적으로 겹치기 마련이다 . 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주민들을 지원하기에 공동체 , 그리고 결과적으로 NGO 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 그 외의 자원들도 부족할 수 있다 . 하지만 NGO 는 재해 이후 지식을 강화해 다음에 재해가 닥쳤을 경우 회복 기간을 줄일 역량을 쌓을 수도 있다 . 빠르게 공동체 자산과 결함 지도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 전반적으로 이 세션에서는 재해에 영향을 받은 공동체가 건강한 일상과 사회적 기능을 회복하도록 지원하는 시스템 , 다시 말해 인적 회복 시스템 (human recovery system) 의 개발 추진으로 이어진 생산적 토론이 이루어졌다 . 토론은 재해 대응과 회복에 있어서 NGO 가 직면하게 되는 주요 문제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에 관하여 권고사항을 도출하였다 - NGO- 정부 협력 및 대응 신뢰성 : 회복을 위해 NGO 와 정부의 협력을 강화하는 방법 및 행동 보건 , 사회적 서비스와 관련해 이 시스템 내에서 대응과 회복 서비스 제공에 가장 적합한 NGO 파악 - NGO 네트워크 : 각각의 NGO 가 어떻게 의사소통하고 서로 협력할 것인가 - 재정 : 인적 회복 서비스를 위해 재정이 능률화되고 개선되어야 할 부분은 어디이며 장기간에 걸친 인적 회복을 위해 지속 가능한 자금 지원 흐름을 개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 목차 1 장 서문 2 장 재해 대응과 회복에 대한 비정부 기구의 관여를 높이기 위한 국가적 정책 아젠다 3 장 세션 1 요약 : 재해 대응과 회복에 있어 비정부 기구의 역할 4 장 세션 2 요약 : 난민과 귀환 시민 지원에 있어 비정부 기구의 역할 5 장 세션 3 요약 : 재해 이후의 정신 의료 서비스와 심리적 회복에 있어 비정부 기구의 역할 6 장 연구 기회 7 장 다음 단계 및 결론 부록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110085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