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OECD, 제조 나노물질: 2009~2010 활동 로드맵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09-22 00:00:00.000
내용 WPMN(Working Party on Manufactured Nanomaterials, 제조 나노 물질에 관한 실무 단체는 회원국들이 나노 물질의 안전성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도록 돕기 위하여 지난 2006 년 설립되었다 . WPMN 은 인체의 건강과 환경의 안전을 위해 총 8 개 업무 영역을 지정 , 적절한 방법과 전략을 개발하면서 업무를 진행시키고 있다 . 다음은 그 8 개 업무 영역을 간추린 것이다 : - lsquo; 인체의 건강과 환경의 안전 rsquo;(EHS) 에 대한 연구 데이터베이스 개발 - 제조 나노 물질에 관한 EHS 연구 전략 - 대표적인 제조 나노 물질 세트에 대한 안전성 시험 - 자발적 계획과 규제 프로그램에 대한 협력 - 위험성 평가에 대한 협력 - 나노 독물학에서 대안의 역할 - 노출 측정 및 노출 완화에 대한 협력 본 문서는 상기 WPMN 이 준비해서 2009 년 3 월 제 5 차 회의 때 비준을 받았다 . 본 문서를 마련한 목적은 다음 두 가지다 . 첫째 , WPMN 이 EHS 의 전체 목표와 OECD 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를 간략히 기술하는 것이고 , 둘째 , 예상되는 WPMN 의 주요 산출에 대해 기술하는 것이다 . OECD 가 금융 위기를 맞아 대응책으로 내 놓은 것이 바로 ldquo; 녹색 rdquo; 성장과 혁신 주도의 성장 문화를 육성시키자는 것이다 . 이를 위해 , 오염 물질을 배출하는 기존의 에너지 생산 공정보다 더 청정하고 기후 친화적인 대안을 모색하고 , 친환경적인 신 기술에 투자하며 , 녹색 기술 및 저 탄소 신 기술을 확산시키며 , 녹색 기술의 R D 를 지원하려고 한다 . OECD 는 화학 물질의 안전성에 대해 탐구하고 인체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는 일에 근 40 년의 세월을 투자해 왔다 . 오늘날 OECD 회원국들은 화학 물질의 위험성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노출 여부를 밝혀내며 위험성을 평가할 때 , 화학 물질 시험 시스템에 기초해서 화학 물질을 규제하고 있다 . 이 같은 방법은 과학으로 , 규칙에 기초한 접근법이다 . 이 접근법은 정보 수집 , 우선 순위 부여 , 시험 , 그 밖의 여러 방법론을 동원하여 데이터 격차를 없애고 , 위험성과 잠재적 노출 , 위험성 평가 , 위험성 관리 조치 등에 대한 평가를 용이하게 한다 . OECD 회원국들은 자체적으로 방법론을 개발해서 상기 접근법을 구현하고 , 각국의 정책과 제도에 조화를 부여하여 회원국들끼리 활동을 공유하는 이익을 누릴 수 있다 . 이와 같은 이유로 , 화학 물질의 생산과 이용과 결부된 문제점을 해결하고 , 한편으로 중복 작업으로 인한 비효율 발생을 피하며 , 비관세 무역 장벽을 마련하는 등의 조처를 통해 인체와 환경을 보호하는 다양한 공정을 수립 , 유지 , 개선하는 노력을 계속해 나가도록 한다 . 목차 서문 제조 나노 물질 실무 단체 (WPMN) 제조 나노 물질 : 2009 년과 2010 년 활동의 로드맵 표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20090254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