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대기 중의 탄소 제거 규모의 적정성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7-05-21 00:00:00.000
내용 스탠포드 대학(Stanford University)의 연구진은 낮은 비용과 제한적인 부작용을 가진 탄소 제거 기술이 대규모로 적용된다면 새로운 위험이 태동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손쉬운 방법은 대기로부터 탄소를 저장하는 나무를 많이 심는 것이다. 다른 방법은 탄소 포획 및 저장이 가능한 바이오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인데, 이제 태동 단계이다. 또 다른 방법은 이산화탄소를 지하 깊숙하게 저장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직접 공기 포집이라는 기술이 있는데, 이것은 화학적 반응을 통해서 대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추출한다. 탄소 포획 및 저장을 하는 바이오매스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토지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온도 상승을 2℃ 이하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총 경작지의 약 25 ~ 80%(지구상의 모든 토지 중의 약 8%)에 해당하는 토지가 필요하다. 탄소가 배출량을 초과하면 지구 기온은 정점을 찍은 다음에 떨어지게 된다고 많은 과학자들은 경고한다. 그러면 행성은 냉각되기 시작한다. 대규모 탄소 제거 기술이 도입되면, 이런 일들을 가속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적절한 규모로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기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핵심 도구이다. 그리고 다양한 접근 방법 즉 탄소 제거 기술의 개발과 재생 에너지원에 대한 투자를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재생 에너지 사용 및 탄소 배출 감축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구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온도에 비해서 2 ℃ 이하로 막으려는 파리 기후 협정을 달성하기가 쉽지 않게 되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해수면 상승, 열파, 가뭄, 범람 등으로 인한 기후 변화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대기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규모로 이산화탄소를 제거한다면 이로 인해서 지구가 급속하게 냉각되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대기 중의 탄소를 적절한 규모로 제거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 연구결과는 저널 Science에 ldquo;Rightsizing carbon dioxide removal rdquo; 라는 제목으로 게재되었다(DOI: 10.1126/science.aam9726).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700216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대기; 탄소; 이산화탄소; 제거; 바이오매스 2. atmosphere; carbon; carbon dioxide; removal; biom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