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SecureRF社, 안전한 사물인터넷 기기보안을 위한 양자저항기술 선보여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7-11-02 00:00:00.000
내용 영국의 반도체설계 기업인 ARM社는 매년 기술컨퍼런스 행사를 개최하며 안전한 연결성을 갖춘 기기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있는데, 올해 열린 기술컨퍼런스에서는 약 2035년까지 연결된 기기의 수가 약 1조개에 이를 것이라는 지난 2016년의 발표내용을 토대로 이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관련 기술컨퍼런스 내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올해 열린 2017 ARM 기술컨퍼런스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들 중 하나는 바로 보안이었으며, 양자저항 보안툴이라 불리우는 기술을 활용한 SecureRF社가 최고의 영예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해당 기업의 보안솔루션은 사물인터넷 보안성과 관련한 최고의 기여와 관련한 수상을 받았으며, 공개 키 암호화 솔루션의 기술력을 인정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코네티컷 주의 Shelton 지역에 위치한 SecureRF社에서 선보인 이번 솔루션은 자원이 부족한 기기들에 대한 미래 보장형 인증방식 및 데이터 보호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고 알려져있다. [참조: https://www.securerf.com ] 이는 기존의 다수의 사물인터넷 기기들이 8, 16, 32비트 프로세서들로 실행이 되어 최신 보안성을 지원하는데 필수적인 컴퓨팅능력과 메모리 자원이 부족할 뿐 아니라 현재까지 가장 우수하다고 알려진 보안 알고리즘인 RSA(비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나 ECC(타원곡선암호시스템)와 같은 암호화 프로토콜을 무력화시킬 수 있는 양자컴퓨터의 공격을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구축하는데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한정된 계산 자원을 활용해 사물인터넷 기기에서 확장 및 동작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접목시켜 문제를 해결하게 만든 SecureRF社의 솔루션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현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ECC 방식보다 약 60배 이상 빠르고 에너지 소비량 또한 약 140배 가량 저렴하며 핵심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경쟁자들이 있는 가운데, 공개 키 솔루션과 디지털 서명 알고리즘은 향후 무선센서나 NFC, RFID와 같은 기기들에도 접목될 수 있는 잠재적 가변성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상기 기술은 공개 키 합의와 비밀키 방식, 디지털 서명방법과 암호화 해시 방식, 그리고 난수 생성기와 같은 다양한 암호화 구축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앞으로 사물인터넷 기기보안 생태계에 얼마나 많은 영향력을 미치게 될 수 있을지 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700326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연결된 기기; 양자저항기술; 공개 키 암호화 솔루션; 2. connected device; Quantum resistant technology; public key encryption s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