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성비 불균형을 교정할 수 있는 코뿔소의 능력 발견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7-03-29 00:00:00.000
내용 뉴질랜드의 수도 웰링턴에 있는 빅토리아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하나의 성(gender)이 우세해지는 것을 막고 심각한 번식 경쟁을 제한하기 위해 자손의 성(sex)을 교정할 수 있는 능력이 코뿔소에게 발견되었다고 발표했다. 빅토리아 생물 과학과의 부교수 Wayne Linklater가 이끄는 이 연구는 성비의 불균형이 부모에 의해 수정될 수 있는 보상 반응(Compensatory response)을 초래할 수 있다는 실험 증거를 야생에서 처음으로 발견했다. Linklater 부교수는 '이것은 1930년에 처음 제안된 생물학적 이론인 항상성 성 분배(Homeostatic Sex Allocation, HSA)의 반응이라고 불린다'라고 설명한다. 거의 모든 개체 모델이 출생의 성비가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있지만, 우리의 증거는 그것이 아닐 수 있음을 나타낸다고 말한다. Nature Ecology Evolution에서 발표된 이 연구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넬슨 만델라 메트로폴리탄 대학(Nelson Mandela Metropolitan University)의 Peter Law 박사, 나미비아 환경 관광부(Ministry of Environment and Tourism)의 Pierre du preez, 빅토리아 대학의 박사후연구원 Jay Gedir 박사의 공동 저술로 이루어졌다. 연구팀은 남부 아프리카 전역을 거쳐 코뿔소가 재도입된 45번의 과정 동안 모은 24년간의 코뿔소 자료를 조사했다. Linklater 부교수는 성적 편중은 개체 수가 적은 코뿔소 개체군에서 특히 중요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코뿔소는 HSA 능력이 있어 그들이 새끼를 가질 때 성을 수정할 수 있으므로 성비 불균형을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그는 설명했다. HSA는 성비 불균형이 클 때 특히 강력한 효력을 가진다. 사실 성비의 불균형이 높아질수록 부모들 사이에서 그 반응은 강하게 나타난다고 한다. Linklater 부교수는 HSA가 가능한 개체군일수록 종의 회복력이 더 크다고 설명한다. 그는 '그들의 적은 개체 수는 그들의 생존력을 더 강하게 만들고, 번식을 통해 서식지를 더 빨리 채울 것이며, 무작위 인구통계학적 과정과 유전적 변이에 덜 민감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Linklater 부교수는 또한, 수컷과 암컷 새끼에 대한 부모의 자원 배분을 설명하는 것은 진화 생물학의 주요 쟁점이라고 설명했다. 극단의 성비는 일반적으로 발생하므로 HSA의 발생은 침입 생물학(Invasion Biology)과 보존 관리를 포함한 다양한 생태 과정의 이해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이 연구는 미국의 조류 및 야생동물 보호국의 #39;코뿔소와 호랑이 보존 기금(Rhinoceros and Tiger Conservation Fund)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Linklater 부교수는 이제 호주 주머니 여우(Brushtail possum) 사이에서 HSA 반응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더 자세히 조사할 계획이다. 이 연구에는 번식 경쟁이 어떻게 효과를 발휘하는지, 생식 과정의 어느 시점에서 암컷이 자식의 성을 통제할 수 있는지가 포함된다. 그는 '주머니쥐는 자식이 아주 어린 시기에 캥거루와 같이 육아낭에서 태어나 매우 조기에 발달할 수 있으므로 이 연구에서 이상적인 동물이다'라고 말한다. '주머니쥐는 또한 뉴질랜드의 침입 포유류이기도 하다. 그들의 생식 과정을 이해하면 개체 수를 관리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700172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항상성 성 분배, 코뿔소 2. Homeostatic Sex Allocation, Rhinocer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