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음파는 입자를 자기 조립, 자기 치유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7-06-20 00:00:00.000
내용 음파에 반응하여 떠다니는 입자를 조립하는 실험은 외부의 힘에 반응하여 생동감 있는 행동이 나타나는 모습을 연구하기 위한 새로운 뼈대를 제공했다. 버클리 국립 연구소 연구팀은 글리세린-물 용액 위에 떠다니는 입자가 컴퓨터 스피커에서 나오는 음향파에 반응하여 어떻게 동기화되는지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에너지 소멸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생물 및 비 생물 시스템이 열역학적 평형을 벗어났을 때 환경에 적응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자기 조립은 물리학 뿐만 아니라, 살아있는 세계에서도 중요하지만, 이에 대한 기본 원칙은 부분적으로만 이해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현상을 연구하고 이해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우아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어떤 물리학자들은 이를 기술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진화할 수 있는 비평형 상태를 연구하였다. 이는 생물학적 시스템, 세포에서 생태계, 날씨 또는 기후 패턴과 같은 특정 비생물학적 시스템에 적용된다. 비평형 시스템을 연구하면 삶, 특히 지적 생명이 어떻게 생겨나는지를 조금 더 가깝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비평형 시스템이 개방 시스템이기 때문에 연구가 복잡하고 어렵다. 개별적으로 입자가 에너지를 소멸시킴으로써 평형 상태에서 멀리 스스로를 구성할 수 있고 환경에 역동적으로 적응하는 집단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입자들은 컴퓨터 스피커에서 생성된 음파의 비트를 따른다. 연구팀은 의도적으로 입자 실험을 끝내면, 조각들은 재구성되어 자기 치유력을 보여준다. 이 연구로 소리와 빛의 파장에 반응하는 적응형 위장 또는 외부 제어 드라이브의 요구에 따라 특성이 쓰여지는 빈 슬레이트 재질과 같은 다양한 스마트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이전 연구에서 입자가 외부 힘에 반응하여 자기 조립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지만, 이 연구는 비평형 시스템에서 적응 메커니즘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일반적인 틀을 제시한다. 또한, 이 연구는 입자가 어떻게 행동하는지 예측할 수 있다. 음파가 4 kHz의 주파수에서 이동함에 따라, 산란 입자는 분당 약 1 센티미터로 움직인다. 10 분 안에 입자들 사이의 거리가 비균일한 입자의 집합 패턴으로 나타난다. 자체 조립된 입자는 음향파가 통과할 수 없는 주파수 범위인 포토닉 밴드갭을 보인다. 실험을 간단히 설명하면, 도파로의 경우 글리세린 수용액 5 밀리미터 풀을 포함하는 2 미터 길이의 아크릴관을 사용했다. 입자는 평평한 플라스틱 조각 위에 떠있는 빨대로 만들어졌고, 음원은 플라스틱 깔때기를 통해 컴퓨터 스피커에서 나왔다. 이 실험은 방음 처리가 더 쉽기 때문에 음향파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관찰된 행동의 기본 원리는 모든 파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지능형 의사 결정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알고리즘이 아닌 계산을 수행하는 지능형 네트워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를 형성할 수 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700241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음파, 자기 조립, 자기 치유 2. sound wave, self-assemble, self-he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