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카네기멜런대학 연구진, 수축가능한 텔레스코핑 설계 알고리즘 개발에 성공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작성일자 2017-08-08 00:00:00.000
내용 미국 카네기멜런 대학의 컴퓨터과학자들은 최근 수축이 가능한 물체로 인해 재미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축이 가능한 형태를 로봇에 접목시켜 #39;텔레스코핑 로봇(Telescoping robot) #39;을 개발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는데, 관련 개발내용을 상세히 조사해보고자 한다. 지난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한 세계적인 컴퓨터그래픽 컨퍼런스인 시그래프컨퍼런스에서는 일부 로봇이 디자인에 변화를 줄 수 있는 방안들이 소개되어 관심을 끈 것으로 나타났는데, 카네기멜런대학의 연구팀이 선보인 종이접기로봇은 구부리거나 비틀수 있는 다양한 3D 형태의 구조물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변화가 가능한 로봇이 좁은 공간에 진입하거나 붕괴된 공간에 물건을 나르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대다수 텔레스코핑 기기들은 단순한 직선형 중첩형태의 실린더로 구성되어있어 복잡하고 구부러진 모양을 만드는 것이 복잡한 설계나 기술적 문제를 야기해 소비재 제품군에서는 선형이나 관 모양이 아닌 제품들을 볼 수 없는 제한이 있다 하겠다. 이번 연구를 위해 카네기멜런 대학의 조교수인 Keenan Crane씨와 Stelian Coros씨는 자신들의 박사과정 연구진과 함께 모양을 설계하고 제작하기 위한 계산방법의 개발에 착수하였으며, 텔레스코핑 메커니즘이 전개가능한 구조물을 디자인하는데 유용할 뿐 아니라 실제 매우 작은 부피로 나뉘어져 필요할 때 손쉽게 접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고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붕괴된 건물이나 환경에서의 잔해 탐색이나 인간이 진입하기 어려운 특수 환경 조건에 투입될 수 있는 로봇들에게 적절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상기 연구팀이 고안한 알고리즘을 활용해 디자이너들은 자체적으로 충돌하지 않는 확대 및 수축가능한 텔레스코핑 구조물을 손쉽게 설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지고 있어 향후 보다 다양한 로봇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GTB201700281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1. 텔레스코핑 로봇; 중첩 실린더; 3차원 구조물 2. Telescoping robot; nested cylinder; 3D structure